삼성전자, 농구장 25배 면적 산호초 복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카메라의 수중 촬영 기술을 활용해 1년 만에 농구장 25배 면적의 산호초를 복원하는 성과를 냈다.
이 단체들은 오션모드가 탑재된 '갤럭시 S24 울트라' 스마트폰을 활용해 수중 산호초 훼손 상태를 파악했다.
기존에는 부피가 큰 수중 카메라를 이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가벼운 스마트폰으로는 산호초 근접 촬영이 더 쉬웠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중 촬영 최적화 갤 S24 활용
훼손 상태 파악 후 산호초 심어
2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회사는 해양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인 ‘코랄 인 포커스’를 통해 지난해부터 미국 플로리다주와 인도네시아 발리, 피지 비티레부섬 등에서 산호 1만1046개를 심었다. 복원 면적은 1만705㎡로 농구장(420㎡)의 약 25배 규모에 이른다.
해당 지역은 산호초의 주요 서식지이지만 해양 환경 파괴로 인해 산호초 군락이 심각하게 훼손돼 있었다. 삼성전자는 이를 복원하고자 지난해부터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SD) 해양과학연구소 ‘스크립스’, 미국 비영리단체 ‘시트리’와 손을 잡았다.
삼성전자는 프로젝트를 위해 수중 촬영에 최적화된 갤럭시 스마트폰 ‘오션모드’를 개발해 각 지역 활동 단체에 제공했다. 이 단체들은 오션모드가 탑재된 ‘갤럭시 S24 울트라’ 스마트폰을 활용해 수중 산호초 훼손 상태를 파악했다. 기존에는 부피가 큰 수중 카메라를 이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가벼운 스마트폰으로는 산호초 근접 촬영이 더 쉬웠다. 오션모드로 찍은 산호초 사진은 17개의 3차원(3D) 산호초 복원도로 제작돼 산호초 군락 복원을 진행하는 토대가 됐다.
‘바다의 열대우림’으로 불리는 산호초는 다양한 해양 생물에게 서식지, 번식지 등을 제공한다. 더불어 강한 파도와 폭풍을 완화하는 ‘자연 방파제’ 역할을 해 해양 침식도 막는다. 삼성전자는 2021년 ‘지구를 위한 갤럭시’라는 비전을 선포한 뒤 스마트폰 등의 생산과 폐기에 이르는 사업 운영 전반에서 환경 보호를 위한 노력을 이어 왔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교황의 마지막 인사가 된 부활절…“전쟁 멈추고 평화를”
- 차기 교황 누구?…최측근 파롤린, 보수파 에르되 등 물망
- [이철희 칼럼]중국 견제, 트럼프는 얼마나 진심일까
- [사설]韓 출마 “노코멘트”… ‘정치 저울질’하며 ‘국익 지키기’ 잘 될까
- [횡설수설/정임수]관세 포화 속 빛나는 현대차-포스코 ‘쇳물동맹’
- [사설]李 “성장 우선”이라더니 더 독한 상법으로 기업 족쇄 채우나
- [오늘과 내일/정원수]尹 내란 혐의 재판, ‘대선 블랙홀’ 되나
- [사설]국힘, 탄핵 놓고도 사분오열인데 ‘빅텐트’ 추진 제대로 될까
- 천하람 “국힘 주도 단일화는 필패…이준석이 이재명 묶어놔야”[정치를 부탁해]
- 한동훈, 11시간만에 후원금 한도 29억4000만원 다 채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