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무빙스타일 vs LG 스바미…'움직이는 TV' 격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집안 어디서든 내가 있는 곳에 TV를 가져와 시청할 수 있는 '이동형 모니터' 시대가 도래하며 새로운 폼팩터 경쟁이 치열하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무빙스타일', LG전자는 '스탠바이미'라는 제품명으로 각각 이동형 모니터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삼성은 스마트모니터를 넘어 TV까지 스탠드에 조합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힌 무빙스타일을 최근 출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V 대신 LG 스탠바이미…업무용 모니터도 출시
'선택지 넓은' 무빙스타일…'유선' 모델은 한계
[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집안 어디서든 내가 있는 곳에 TV를 가져와 시청할 수 있는 ‘이동형 모니터’ 시대가 도래하며 새로운 폼팩터 경쟁이 치열하다. 과거에는 TV가 있는 곳으로 이동해 시청하는 수동적인 경험에 그쳤다면, 이젠 설거지를 하면서도 TV를 볼 수 있는 능동형 시대가 온 것이다. 넷플릭스 등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열풍으로 TV 시청층이 줄면서 ‘이동형 모니터’ 열풍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동형 모니터 시장은 LG전자의 스탠바이미로 열렸다. 2021년 새로운 폼팩터의 등장으로 출시 초기 1인 가구와 신혼부부 등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다. 품귀현상까지 부르며 돌풍을 일으킨 제품이지만 100만원이 넘는 고가라는 점은 단점으로 꼽혔다. 화면과 스탠드가 일체형으로 출시돼 소비자가 조립할 필요는 없지만, 모니터 크기가 27인치에 국한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은 갈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이에 삼성 스마트 모니터와 스탠드를 따로 각각 구매해 직접 조립하는 ‘삼탠바이미’가 탄생했다. 스탠바이미와 달리 원하는 크기와 해상도를 충족하는 삼성 모니터를 고를 수 있어 넓은 집에서도 무리 없이 시청할 수 있다. 저가 시장에서 삼탠바이미가 인기를 얻으며 삼성전자는 2023년 말 무빙스타일을 출시했다. 스탠바이미, 삼탠바이미의 수요를 직접 삼성전자 고객으로 끌어들이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무빙스타일도 한계는 있다. 당초 ‘무선’으로 출시된 스탠바이미와 달리 ‘유선’이라는 점이다. 콘센트와 연결하지 않으면 시청이 불가능하다. 스탠바이미1은 전원을 연결하지 않아도 최대 3시간, 스탠바이미2는 최대 4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신제품 출시 행사에서 “무빙스타일 무선 모델 출시 준비를 하고 있다”면서 “곧 좋은 소식을 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무선 모델 출시를 암시했다.
이동형 모니터는 최근 자녀를 둔 가구에서도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자녀 교육을 이유로 TV를 설치하지 않은 가정의 경우 ‘대체재’로 이동형 모니터를 선택하고 있어서다. 업계 관계자는 “요즘 젊은 세대들은 TV를 보지 않아 TV 시청층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라며 “이동형 모니터 시장은 점점 더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민정 (jju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향년 88세(상보)
- 일본인 관광객들, 한국서 앞다퉈 사가더니…수출 '완판'
- "어떤 아저씨가 쏘고 있다"...봉천동 방화 용의자 사진 보니
- "왜 가격 올리나?"…버거3사, 돈도 잘 벌고 비용부담 줄었네
- 파면 후 물 '228톤' 쓴 尹부부…"관저 내 수영장" 주장 나와
- 인순이, 김종민 아내 사진 유출…"두 사람에게 미안해"
- 장근석 "우울증 심해 기억 잃어…6개월 앓아누웠다" (가보자GO4)
- “드론도 못 쫓아가”…아들 운동회서 전력질주한 엄마, 정체는? (영상)
- '경력 29년' 日 버스 기사, 퇴직금 1.2억 날린 이유
- “회복되긴커녕 악화했다”... 발 다친 손흥민, 노팅엄전도 빠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