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이번주 첫 관세 협상…트럼프, 비관세 장벽 지목 [월가 딥다이브]

김종학 기자 2025. 4. 21. 14: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종학 기자]
<앵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강도 관세 정책이 잇딴 역풍을 부르고 있습니다. 경제 정책 지지도에서 역대 대통령 가운데 처음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요

<기자>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한 관세 영향으로 미국의 경제 성장률 둔화가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도에도 타격을 주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현지 경제 매체 CNBC가 지난 13일까지 일주일간 진행한 전미 경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운영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55%까지 상승했습니다.

직무 수행, 경제 운영에 대한 지지도는 40% 중반으로, 경제 정책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조사 이후 처음으로 찬성 의견을 앞질렀습니다.

전임 바이든 정부 지지도보다 여전히 견고하고, 공화당의 지지도는 76%에 달하지만, 미 민주당, 무당파, 일부 노동자 층의 반감이 확산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전날 미국의 상업용 트럭 제조사인 맥 트럭스가 350명, 미 버지니아에 위치한 볼보 트럭 공장에서 500명 가량의 구조조정에 나섰는데, 경기 둔화로 화물 운송과 기업 수요 악화가 시작되고 있다는 징후로 읽힙니다.

이를 반영하듯 19일 미 전역 반트럼프 시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에도 맨해튼 미드 타운과 백악관 앞, 메사추세츠 등에서 현 정부에 반대하는 집회가 또 열렸습니다.

정부효율성위원회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 매장을 겨냥한 항의도 계속됐는데, 이달 초 첫 항의 시위보다는 규모가 줄어든 모습입니다.

<앵커> 이번 주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총회가 워싱턴에서 열립니다. 이번 회의가 관세 협의의 변곡점이 될 수도 있다고요?

<기자>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기업들의 실적 전망과 정부의 성장률 예측이 이례적인 모습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IMF-세계은행 연차 총회가 워싱턴DC에서 열리는데, 총회에 참석하는 당국자 얘기로 오는 22일 IMF가 공개할 경제성장 전망이 사상 처음 여러 시나리오로 나올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그기예바 IMF 총재가 이미 지난 17일 “새로운 전망치에 상당한 하향 조정이 반영될 것”이라면서 “높은 불확실성의 장기화로 금융시장의 스트레스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같은 기간 G20·중앙은행 회의는 전 세계 경제 당국자들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일으킨 관세 전쟁 이후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이는 자리입니다.

중국을 제외한 각국이 10%의 한시적인 상호관세를 부과 받은 가운데,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 투자 위축 등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질 전망입니다.

미국도 인플레이션 재상승 위험으로 인해 서비스업 경기가 정점을 지나고 있고,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반짝 상승한 제조업 경기지표도 확장 국면 아래로 주저 앉은 상태입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효율성위원회의 대규모 공무원 해고로 워싱턴DC 호텔과 식당 매출이 10~20% 줄어드는 등 경기 둔화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앵커> 우리 정부도 이번 총회 기간 미국과 본격 협상에 들어갑니다. 앞선 일본과의 협상 과정을 보면, 환율이 변수가 될 수 있다고요?

<기자> 현지시간 24일 최상목 기재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표 등과 만나 관세에 대한 한미간 고위급 협상을 진행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 대행과 통화에서 거론한 방위비 분담금, 조선업 협력, 알래스카 천연가스 프로젝트 등이 이번 협상의 주요 과제로 거론됩니다.

미국은 현재 중국에 대해서는 보복관세를, 우리나라와 일본, 호주, 인도, 영국 등을 상대로 우선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협상을 한 일본은 비관세 장벽으로 지목되어 온 차량 보행 안전 기준을 낮추고, 환율 안정을 위해 협력 의사를 밝히면서 협상에 진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오늘 직접 비관세 부정 행위에 해당하는 8개 항목을 공개했는데, 전체 항목 중 환율 조작이 가장 대표적인 행위로 지목돼, 관세 협상 가운데 문제시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이와 함께 부가가치세, 원가보다 낮은 덤핑, 정부 보조금, 기술 보호 등을 부정 행위로 명시해 협상 과정의 요구 수준이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일부 국가들과 협상은 시작했지만, 핵심인 중국에 대한 관세는 여전히 진전이 없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향후 3-4주 내에 합의할 수 있다고 언급했지만, 폴리티코 등에 따르면 실무 차원의 비공식 협상조차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는 이번 관세 협상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김종학 기자 jh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