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뇌종양의 비밀 풀렸다…재발 원인 ‘전암세포’ 첫 규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은 치료 후에도 1년 이내 대부분 재발하며 생존율이 매우 낮은 악성 뇌종양이다.
국내 연구진이 교모세포종에 암세포로 발전할 가능성을 가진 전암세포(Precancerous cell)가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밝혔다.
이정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진은 세계 최초로 교모세포종의 진화와 재발, 치료 저항성의 근원이 되는 '암의 씨앗' 전암세포를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은 치료 후에도 1년 이내 대부분 재발하며 생존율이 매우 낮은 악성 뇌종양이다. 국내 연구진이 교모세포종에 암세포로 발전할 가능성을 가진 전암세포(Precancerous cell)가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밝혔다.
이정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진은 세계 최초로 교모세포종의 진화와 재발, 치료 저항성의 근원이 되는 ‘암의 씨앗’ 전암세포를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암 분야 국제 학술지 ‘캔서 디스커버리(Cancer Discovery)’에 지난 16일 게재됐다.
연구진은 앞서 2018년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교모세포종이 뇌 깊은 곳에 있는 돌연변이 줄기세포로부터 시작된다는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암 세포가 어디서 유래하는지를 규명하고 전암 세포가 종양 내 세부 유형의 암세포들을 만들어 암 재발의 중심축 역할을 한다는 점도 밝혔다.
특히 교모세포종 같은 악성 뇌종양은 암세포들이 각각 치료에 다르게 반응하는 ‘종양 내 이질성’ 때문에 치료가 쉽지 않다. 연구진은 종양 내 이질성 현상의 원인이 전암세포라는 것도 세계 최초로 밝혔다. 현재 이를 바탕으로 교원창업기업 ‘소바젠’이 암 진화와 재발을 억제하는 교모세포종 리보핵신(RNA) 치료제 혁신 신약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논문의 단독 제1저자인 김현정 고려대 의과대학 교수(前 KAIST 의과학대학원 연구원)는 “전암세포는 종양을 더욱 복잡하고 공격적인 형태로 진화시키는 ‘암 이질성의 씨앗’과 같은 존재”라며 “전암세포를 이해하고 표적화하는 것이 교모세포종을 근본적으로 극복할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참고 자료
Cancer Discovery(2025), DOI: https://doi.org/10.1158/2159-8290.CD-24-0234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초스피드 韓 방산… 2년 7개월만에 천무 126대 폴란드 납품
- [Why] ‘세계의 숨통’ 쥐고도… 이란, 호르무즈 해협 봉쇄 못한 3가지 이유
- “쯔양 영상 올리면 1건당 1000만원 배상”… 법원, 가세연 제재
- ‘오징어 게임’이 다시 온다... K콘텐츠 열풍에 해외서 유행 이어가는 韓 음식·문화
- 선박값 너무 올랐나… 발주 급감에 3년 뒤 일감 부족 우려
- 샤오미, 통신사 지원금 없는 110만원대 스마트폰 출시… “‘갤럭시S25′ 공짜인데 누가 살까”
- 주스·껌 시대는 지났나… 자리 밀려난 과거의 먹을거리 황제들
- [단독] 한화 3남 김동선의 ‘로봇 우동’ 가게, 한 달 만에 문 닫는다
- ‘전광훈의 사랑제일교회’ 빼고 간다… 장위10구역 ‘사업시행인가’
- 폴란드, 韓 공군과 미사일 임대 계약… FA-50 실전 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