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의 아버지 된 '이 논문', 과학계 싹쓸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1세기에 과학계에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은 무엇일까.
과학 저널 네이처는 2000년 이후 발표된 논문 가운데 인용 횟수가 가장 많은 연구들을 분석하며, 인공지능(AI) 기술이 현대 과학계의 핵심 위치를 차지하게 된 과정을 조명했다.
분석 결과,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25편 중 다수가 AI 분야에 집중돼 있었다.
왜 AI가 휩쓸었나 네이처는 AI 논문의 피인용 급증 원인으로 다학제 적용성과 오픈소스 생태계를 들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UD3러닝과 오픈소스 기술이 과학 발전 주도
[파이낸셜뉴스] 21세기에 과학계에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은 무엇일까. 이는 바이오도, 양자도 아닌 인공지능(AI)을 다룬 논문들이었다. 과학 저널 네이처는 2000년 이후 발표된 논문 가운데 인용 횟수가 가장 많은 연구들을 분석하며, 인공지능(AI) 기술이 현대 과학계의 핵심 위치를 차지하게 된 과정을 조명했다.
분석 결과,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25편 중 다수가 AI 분야에 집중돼 있었다. 특히 빅테크들이 발표한 딥러닝 구조 및 오픈소스 기반의 연구들이 상위권을 휩쓸었다. 이는 생명과학이나 물리학처럼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던 분야를 제치고 AI가 과학의 도구로서 실제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얘기다.
AI 분야의 주요 논문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2012년 제프리 힌튼 교수가 개발한 이미지 인식 기술 알렉스넷(AlexNet) 논문은 8위에 올랐으며, 2017년 구글이 발표한 자연어 처리 기술 트랜스포머(Transformer) 구조 논문 ‘Attention is All You Need’는 7위를 기록했다.
이 두 연구는 각각 이미지 분석과 언어 생성 기술의 기반을 다졌고, 이후 챗GPT 같은 거대 언어 모델(LLM)의 핵심이 됐다.
AI 외에도, 실험 도구 및 분석 소프트웨어를 소개한 논문들도 인용 상위권에 올랐다. 2위는 유전자 활성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연구, 5위는 X선 산란 패턴 분석 프로그램인 셸렉스(SHELX) 소개 논문이었다. 미시간대 미샤 테플리츠키 교수는 “과학자들은 혁신적인 이론보다 직접적인 연구에 도움을 주는 도구 논문을 더 자주 인용한다”며, 실제 연구 현장에서는 ‘도구 중심’ 접근이 과학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MS #네이처 #논문 #챗GPT #오픈AI #알파폴드
ksh@fnnews.com 김성환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대 구직 여성 연이어 시신으로…남성 정액 발견
- 이용기 국힘 대전시의원, 차량서 숨진 채 발견
- "시동생과 불륜 아내, 시아버지와도 관계" 유재석도 말문이…
- 제주 모 중학교 40대 교사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중
- "故 김새론, 2018년 김수현과 교제? 당시 유명 아이돌 멤버와 사귀어"
- 진서연 "남편, 이태원 클럽서 흔들다 만나…3개월만에 혼인신고"
- 손흥민에 3억 뜯어낸 협박女, 무속인에 8천만원 입금.."우리도 협박 당했다" 주장, 무슨일?
- "낮에는 환자 진료, 밤에는…" 中여의사, 이중생활 이유가
- '필리핀서 손 묶인채 마약 강제 투약 주장' 김나정, 4개월 만에 SNS 재개…미소
- 부모 60억 집 사준 김재중 "동료 연예인 질타 물밀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