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못 돼서" 이재명, 2022년 개헌 약속 못 지킨 이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12.3 불법적 비상계엄 이후 심각해진 국민 간 반목을 해소할 방안으로 '탕평'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18일 서울 상암동 MBC에서 진행된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자 첫 TV토론에서 '심각해지는 진영 간 반목·갈등을 풀기 위한 새 대통령의 할 일'을 묻는 질문에 대해 "국가 권력을 행사하는 데 있어서 권력을 일부나마 함께 분담하는, 소위 탕평이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분권형 개헌 당연히 해야…저도 하고 싶다"
국민 반목·갈등 심화 해법으로는 '탕평'·'협치' 제시
이 후보는 18일 서울 상암동 MBC에서 진행된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자 첫 TV토론에서 ‘심각해지는 진영 간 반목·갈등을 풀기 위한 새 대통령의 할 일’을 묻는 질문에 대해 “국가 권력을 행사하는 데 있어서 권력을 일부나마 함께 분담하는, 소위 탕평이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
그는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 중의 하나가 대립 갈등이 심하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내란 사태를 거치면서 극단적인 대립과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며 “아마도 무기 소지가 허용됐으면 더 심각한 일도 벌어졌을 수 있을 정도”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정치의 제1과제는 통합이다. 특히 대통령 역할은 찢어진 국민들의 국론을 하나로 모으는 것이다. 그 핵심은 역시 각 진영이 주장하는 바들을 잘 조정하는 것이다. 소위 협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토론에서 2022년 대선 당시 선거연대를 했던 김동연 예비후보로부터 ‘당시 합의했던 분권형 대통령제로의 개헌에 대한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김 후보는 “당시 정치교체와 국민통합에 대한 합의를 했고, 5개 합의안 중 첫 번째가 개헌이었다. 분권형 대통령제로 개헌을 하고 임기단축을 저와 약속하셨다. 또 정치개혁을 위한 선거법 개정도 함께 합의했다”며 “대표를 두 번 연임하면서도 이에 대한 노력이 보이지 않았다”고 일갈했다.
이 후보는 이에 대해 “제가 대통령이 되지 못했기에 (개헌) 약속을 지킬 수 없는 상황이었다”며 “분권형 개헌은 지금도 당연히 해야 될 일이라고 생각한다. 당장 개헌의 문제는 저도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지금 국민투표법 때문에, 그 법을 개정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개헌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사전투표를 반영하지 않고 있는 국민투표법은 헌재에서 위헌 결정으로 효력을 상실했지만, 국회 논의가 지연되면 입법 공백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한광범 (totor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대통령집무실, 용산서 시작해 청와대 이전이 현실적"
- "무술 잘하세요?" 질문에…'블랙 출신' 홍장원 답변은?
- 美 희토류 기업, 중국 수출 중단…中 보복에 맞불
-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 "태어나서 처음 교제했는데"...하남 여친 살해범, '꾀병' 안 통하자
- ‘전한길 뉴스’ 출연한 김계리 “헌재 선고에 ‘미쳤구나’ 생각만”
- "하루 수익 6억?" 국내최초 '1억 구독자' 돌파한 유튜버 정체
- “어머니 안에 있다” 외침에…불길 뛰어든 경찰[따전소]
- 86만원 신고가 찍은 한화에어로…외국인 또 담았다
- "한국에서 꿈은 선장" 수십명 살린 '산불 영웅' 수기안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