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 입항료 부과 결정에 "필요한 조처할 것" 보복 시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중국산 선박을 이용하는 해운사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한 미국 측의 결정에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앞서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간)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 "전 세계 해운 비용 증가" 비판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중국이 중국산 선박을 이용하는 해운사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한 미국 측의 결정에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으로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미국이 중국이 장악하고 있는 해운·조선 산업을 겨냥하며 중국에 대한 압박을 최대한 끌어올리자 전 세계 해운 산업에 해를 끼칠 것을 우려하며 보복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린 대변인은 “전 세계 해운 비용을 증가시키고 글로벌 생산 및 공급망의 안정을 혼란스럽게 할 뿐 아니라 미국 내 인플레이션 압력을 증가시키고 미국 소비자와 기업의 이익을 해쳐 결국 미국 조선업을 활성화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실과 다자간 규칙을 존중해 ‘부당한’ 관행을 즉시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며 “중국은 합법적 권익을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간)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수수료는 180일 뒤인 오는 10월 14일부터 단계적으로 부과된다.
USTR은 중국 기업이 운영하거나 소유한 선박에 톤당 50달러의 입항 수수료를 징수하고, 이를 매년 올려 2028년에는 톤당 140달러가 되게 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이 아닌 나라의 기업이 운영하는 선박이라도 중국에서 건조했으면 10월 14일부터 톤당 18달러를 내야 한다. 수수료는 매년 늘어 2028년에는 톤당 33달러가 된다. 톤 대신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수수료를 부과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컨테이너 1개당 120달러에서 시작해 2028년 250달러까지 증가한다.
이소현 (atoz@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86만원 신고가 찍은 한화에어로…외국인 또 담았다
- '14배 폭등' 상지건설 상한가 행진 멈췄다...12.22% ↓
- ‘전한길 뉴스’ 출연한 김계리 “헌재 선고에 ‘미쳤구나’ 생각만”
- "정말 멋진 리더" 문형배 퇴임사 언급 직원들 한 목소리
- [단독]쯔양, 가세연 수사관 기피신청 접수…"공정결과 기대"
- ‘심정지’ 엄마 살려낸 9세 아이…“7분 동안 심폐소생술”
- 6400억 단군 이래 최대 사기꾼 장영자, 81세에 또 감옥행
- '뛰어야 산다' 율희 "힘든 시간 완주할 것…아들도 응원"
- "사저 돌아간 윤석열에 꽃다발 건넨 입주민, '이 사람' 어머니였다"
- '뛰어야 산다' 양준혁 "50대 중반인데 아기 100일, 둘째도 낳고 싶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