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고인석' 앉은 윤석열 전 대통령, 이번엔 볼 수 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법원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을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을 법정 안에서 촬영할 수 있게 허용했다.
17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25부(부장판사 지귀연)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공판 촬영을 허락했다.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형사재판에서도 재판 시작 이후에는 촬영이 허용되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이 지난번처럼 지하주차장을 통해 출입하도록 허용할지 등 동선에 대해서는 청사를 관리하는 서울고등법원이 18일 밝힐 예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하주차장 출입 등 동선은 18일 공개
법원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을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을 법정 안에서 촬영할 수 있게 허용했다.
17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25부(부장판사 지귀연)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공판 촬영을 허락했다. 15일 6개 방송사로 구성된 법조 영상기자단이 “전직 대통령들과 달리 윤 전 대통령은 한 번도 포토라인에 서지 않았다”며 촬영허가 신청서를 낸 지 이틀 만에 나온 결정이다. 앞서 재판부는 14일 있었던 1차 공판 때 촬영은 불허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에 대한 의견요청 절차 등을 거친 뒤, 국민적 관심도, 국민의 알 권리, 피고인 등 관계인의 법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허가 결정을 했다"고 밝혔다. 대법원 규칙에 따라 재판부는 피고인이 원하지 않더라도 “공공의 이익을 위해 상당하다고 인정”되면 촬영을 허용한다.
촬영은 재판 시작 전까지만 허용된다. 윤 전 대통령이 21일 오전 10시 2차 공판에 출석하면 피고인석에 앉는 모습까지 찍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형사재판에서도 재판 시작 이후에는 촬영이 허용되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이 지난번처럼 지하주차장을 통해 출입하도록 허용할지 등 동선에 대해서는 청사를 관리하는 서울고등법원이 18일 밝힐 예정이다. 서울고법은 지하주차장으로 출입은 특혜가 아니라 청사 방호를 위해서였다고 설명했었다. 1차 공판 때 법원 앞 시위대는 수십 명 정도로 많지 않았다. 서울고법은 경내로 출입하는 사람들의 가방을 검사하며 안전 관리에 신경 쓰는 모습이었다.
Copyright © 기자협회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TBC 오대영 앵커, 3년 만에 '뉴스룸' 복귀 - 한국기자협회
- 256가닥, 이제는 사라진 '청송의 마법' - 한국기자협회
- 언론현업단체, 국정기획위에 "'바이든-날리면' 진상규명" 요구 - 한국기자협회
- 네이버 뉴스제휴위원회 재개 첫 발…정책위원 11인 위촉 - 한국기자협회
- 네이버, KBS와 'AI 파트너십' 체결…개별협약 속도낸다 - 한국기자협회
- "尹이 MBC 없애려…" 한국일보, 건진법사 메시지 보도 - 한국기자협회
- 경기신문 기자, 국회의원 지역사무실서 취재 중 폭행 당해 - 한국기자협회
- KBS 기자·PD협회 "박장범 사장, 편성위원회 즉각 재구성하라" - 한국기자협회
- "매 순간 온 마음 다해 듣고, 쓰고, 착실히 걸어 나가겠다" - 한국기자협회
- "尹정부의 공영방송 이사 부당해임, 李대통령이 바로잡아달라" - 한국기자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