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의대 정원 동결은 대국민 사기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정부가 다음 해 의과대학 모집 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확정한 데에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경실련은 17일 논평을 통해 "정부는 학생 전원 복귀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전제로 의대 정원을 논의하기로 약속했다. 이 같은 전제가 이뤄지지 않았음에도 정원을 동결하는 것은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료계 집단행동에 물러서면 국민은 정부 불신"
[서울=뉴시스] 이명동 기자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정부가 다음 해 의과대학 모집 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확정한 데에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경실련은 17일 논평을 통해 "정부는 학생 전원 복귀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전제로 의대 정원을 논의하기로 약속했다. 이 같은 전제가 이뤄지지 않았음에도 정원을 동결하는 것은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들은 "최근 한국의학교육협의회(의교협)는 정부에 수업 정상화도 확인하지 않고 정원부터 동결하라는 앞뒤가 맞지 않는 주장을 했고 오늘 정부가 화답하듯 정원 동결을 밝혔다"며 "정부가 의정 밀실야합을 통해 미리 정원 동결을 정해놓고 형식적 대국민 발표를 통해 수순을 밟고 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는 의대 교육 정상화를 강변하지만 원칙 없는 정책 후퇴가 정책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교육 정상화를 더욱 어렵게 하는 원인임을 인식해야 한다"면서 "의료계의 집단행동에 물러선다면 의대 증원은 물론 국민 중심으로 개혁하던 의료정책 추진은 불투명해질 것이다. 어떤 국민이 정부의 말과 정책을 믿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동시에 "정부의 정원 동결은 집단행동이면 정부도 이길 수 있다는 의료계의 비뚤어진 믿음을 더욱 굳건하게 했다는 점에서 악수를 둔 것"이라며 "무엇보다 정부의 정책을 지지하며 1년을 힘들게 버텨온 환자와 국민이 입을 피해는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라고 일침을 가했다.
같은 날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발표하면서 의대 교육 정상화의 마지막 기회라며 학생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2월 앞으로 5년 동안 의대 정원을 매년 2000명씩 1만명 늘리는 증원안을 발표했다. 의대생과 전공의가 학교와 병원을 떠나는 등 의료계의 반발에 부딪히면서 같은 해 5월 기존 3058명에서 50%가량 증원(1509명)된 2025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4567명)을 발표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ddingdong@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부남 붐, 의문의 상대와 진한 입맞춤…"일동 경악"
- '최현석 딸' 최연수, 12세 연상 딕펑스 김태현과 9월말 결혼
- 최준희, 확 달라진 미모 "영국 푸들 느낌 어때요?"
- 김혜수, 32세 연하 윤상현과 영화관 포착…놀라운 투샷
- 김태희, '5세 때 이혼' 친모 찾는다…40년만 충격 근황
- '박수종 열애설' 이주은, 침묵 깨고 SNS에 글…뭐길래?
- 출산앞둔 서민재, 아이 친부 또 저격 "생명 유린"
- 전지현·강동원 투샷…시어머니도 반긴 조합
- 전현무, '20세 연하' 홍주연과 '핑크빛 분위기' 계속
- 서신애, 아역 시절과 180도 변신…'하이킥' 그 아이 맞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