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수요 증가에 힘입어 디스플레이 설비투자 확대 전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요 증가에 따라 디스플레이 설비투자(캐펙스·CAPEX)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7일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분기별 디스플레이 설비 투자 및 장비 시장 점유율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7년 디스플레이 장비 지출 규모는 기존보다 2% 상향된 770억달러로 예상됐다.
OLED는 액정표시장치(LCD)보다 설비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 전체 디스플레이 장비 지출의 58%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한지은 기자 =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요 증가에 따라 디스플레이 설비투자(캐펙스·CAPEX)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7일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분기별 디스플레이 설비 투자 및 장비 시장 점유율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7년 디스플레이 장비 지출 규모는 기존보다 2% 상향된 770억달러로 예상됐다.
OLED는 액정표시장치(LCD)보다 설비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 전체 디스플레이 장비 지출의 58%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됐다. LCD는 약 4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OLED 부문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에서의 OLED 채택 증가와 평균 패널 크기 확대 등에 따라 2027년 83억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다만 정보기술(IT)용 OLED에 대한 수요는 예상보다 낮아 일부 8.7세대 라인에서는 스마트폰용 패널을 먼저 생산할 가능성이 있다.
국가별로는 전체 디스플레이 장비 지출에서 중국이 83%, 한국이 1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인도가 2%, 대만이 1%를 차지할 전망이다.
중국은 LCD 장비 지출에서 93%, OLED 부문 77%, 마이크로 OLED 부문 85%를 차지하며 디스플레이 장비 지출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할 것으로 분석됐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관계자는 "중국은 2027년까지 매년 장비 지출에서 선두를 유지할 것"이라며 "신흥주자로는 인도가 LCD 내수 투자를 중심으로 인프라를 확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writer@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콜드플레이 콘서트 '불륜 생중계' 사건에 귀네스 팰트로 등장 | 연합뉴스
- 양평서 차량이 단독주택으로 돌진…마당에 있던 10대 숨져 | 연합뉴스
- 강남 '마약운전' 20대 체포…낮에 전신주·담장 차례로 '쿵' | 연합뉴스
- 3차례 신고·보호조치에도 막지 못한 의정부 '스토킹 살인'(종합2보) | 연합뉴스
- [샷!] 강아지도 입학시험 본다…"스카이개슬" | 연합뉴스
- 아들 사제총기 살해범, 추가 적용된 살인미수 혐의 부인 | 연합뉴스
- "온몸에 오물 묻고 구더기 우글"…강화도서 개 300마리 구조 | 연합뉴스
- "얼마나 힘든지 알아"…청소년 교인 추행한 파렴치 부목사 | 연합뉴스
- 이면도로서 차량 앞으로 넘어진 보행자 사망…운전자 책임은 | 연합뉴스
- '210㎏' 역대 가장 무거운 NFL 신인, 체중 문제로 훈련 연기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