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정 없는 운영에 갈등만...송전탑 입지선정위 논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송전탑이 지나는 곳마다 극심한 사회적 갈등이 빚어지자, 국회는 지난 2023년 주민 의견을 듣도록 하는 '입지선정위원회'을 의무화했습니다.
이미 한전측은 주민대표를 포함한 입지선정위원회를 꾸려 송전탑 노선을 결정했습니다.
송전탑 건설 과정에서 극심한 사회적 갈등이 빚어지자 지난 2023년부터 입지선정위원회를를 거치도록 의무화됐습니다.
//하지만 입지선정 위원회가 어떤 방법으로, 언제 논의하는지 등 명확한 규정이 없어 주민 의견을 배제할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송전탑이 지나는 곳마다 극심한 사회적 갈등이 빚어지자, 국회는 지난 2023년 주민 의견을 듣도록 하는 '입지선정위원회'을 의무화했습니다.
하지만 이 입지선정위원회를 열어 노선을 결정하더라도, 여전히 논란이 계속되는 경우가 부지기숩니다.
그 이유를 이환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진천군 문백면의 한 마을입니다.
한국전력은 이 마을 인근에 154kv 송전탑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미 한전측은 주민대표를 포함한 입지선정위원회를 꾸려 송전탑 노선을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정작 주민들은 이 결정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한경호 / 진천군 문백면 석복마을
"한전은 사업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에 주민들은 지상송전, 송전탑을 끌어안는 피해를 고스란히 안고 있는데 이거에 대해서 너무 부당하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을까?
송전탑 건설 과정에서 극심한 사회적 갈등이 빚어지자 지난 2023년부터 입지선정위원회를를 거치도록 의무화됐습니다.
<그래픽>
//법을 통해 주민 의견을 청취해야 하고, 주민 대표를 포함해 입지선정 위원회를 꾸리도록 한 것입니다.//
<그래픽>
//하지만 입지선정 위원회가 어떤 방법으로, 언제 논의하는지 등 명확한 규정이 없어 주민 의견을 배제할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이번 사례도 마찬가지입니다.
<인터뷰> 신동앙 / 진천군 문백면 석복마을
"사실 주민설명회라는 거는 이 사업이 있기 전에 주민들에게 설명을 해야하는데 사실 그게 아니고 다 자기들이 결정을 해놓은 다음에 주민설명회를 하는 겁니다."
<인터뷰> 김한근 / 변호사
"참여 인원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는 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1인의 의견으로 주민대표의 의견이 오해되거나 곡해되거나 할 수 있는 우려가..."
CJB의 취재에 대해 한전 측은 송전탑 노선 결정 과정에서 좀 더 심도 있는 공론화 과정을 거치도록 개선책을 찾겠다고 밝혔습니다.
CJB 이환입니다.
#충청 #충북 #세종
Copyright © CJB청주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