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이자, 곧 1%대"...은행권, 예금금리 줄줄이 인하

이주미 2025. 4. 15. 16: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요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줄줄이 낮추면서 '1% 시대'를 뉸앞에 두고 있다.

낮은 이자에 은행 정기예금에서는 자금이 빠르게 이탈하고 있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이날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2개월 만기 주요 정기예금 기본금리는 연 2.15~2.75%로 집계됐다.

신한은행의 '쏠편한 정기예금'과 KB국민은행의 'KB Star 정기예금'은 1개월 기준 1.80%를 나타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0일 서울 시내 시중은행 ATM기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주요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줄줄이 낮추면서 '1% 시대'를 뉸앞에 두고 있다. 낮은 이자에 은행 정기예금에서는 자금이 빠르게 이탈하고 있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이날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2개월 만기 주요 정기예금 기본금리는 연 2.15~2.75%로 집계됐다. 전월 취급 평균 금리(2.98~3.00%)보다 상·하단이 각각 0.8%p, 0.3%p 내려왔다.

시장금리가 하락하면서 은행권은 잇따라 예금금리를 내리는 추세다. 우리은행은 이날부터 예·적금 19종 상품의 기본금리를 0.1~0.25%p 인하했다. 대표 정기예금(1년 이상 2년 미만) 금리는 연 2.40%에서 2.15%로, '우리 SUPER 정기예금'(6개월 이상 1년 미만) 역시 2.55%에서 2.30%로 내렸다.

토스뱅크도 주력 정기예금 상품인 '먼저 이자 받는 정기예금' 금리를 0.2%p 인하했다. IBK기업은행은 오는 16일부터 예금 4종, 적금 11종, 입출식 1종, 판매 종료된 상품 10종 금리를 0.1~0.5%p 낮춘다.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수신상품의 금리를 내리면서 '예금금리 1% 시대'가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이미 1개월짜리 초단기 정기예금 금리는 1%대다. 신한은행의 '쏠편한 정기예금'과 KB국민은행의 'KB Star 정기예금'은 1개월 기준 1.80%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올해 한두 차례 더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예금금리 하락세는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오는 17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금리를 연 2.75%로 유지할 전망이지만 다음달에는 추가 금리인하가 예상된다.

금리 매력이 떨어지면서 정기예금 수요도 급감하는 추세다. 지난달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전월 대비 15조5507억원 감소했다. 2월에 15조7000억원 늘었던 정기예금이 한 달 만에 제자리로 돌아온 셈이다. 올해 들어서는 4조6000억원 가까이 줄었다.

반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투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대기자금은 크게 불어나고 있다. 수시입출금식예금(MMDA)을 포함한 5대 은행의 요구불예금은 지난달 말 기준 650조124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 18조8906억원이 늘어났다. 요구불예금은 이자가 거의 없는 대신, 예금주가 언제든 넣고 뺄 수 있는 돈으로 투자대기성 자금으로, 금리가 낮은 정기예금에서 돈을 빼내 추가 투자를 위해 대기하는 자금이 많다고 볼 수 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