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이제 오를 일만 남았나…외국인 돌아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외국인의 삼성전자(005930)에 대한 매도 행렬이 종지부를 찍은 모습이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1일까지 11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렬을 보인 외국인은 전날부터 이틀 연속 매수 우위로 돌아서 약 100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외국인은 올 들어 삼성전자를 2조5629억원 순매도, 이 기간 외국인 유가증권시장 순매도 규모 14조7253억원의 약 17%를 차지했다.
외국인의 매수 배경에는 삼성전자 주가의 저평가가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2.5조어치 순매도한 외인
2거래일 연속 소폭 매수세 유입
PER 10배 이하서 비중 확대 경향
"5만원 중반대 가격 매력 충분"
"관세 리스크 등 상승 동력 제한적"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외국인의 삼성전자(005930)에 대한 매도 행렬이 종지부를 찍은 모습이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1일까지 11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렬을 보인 외국인은 전날부터 이틀 연속 매수 우위로 돌아서 약 100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외국인의 매수 배경에는 삼성전자 주가의 저평가가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안현국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주가수익비율(PER)이 10배 밑으로 내려가는 구간에서 외국인 포트폴리오 내 비중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며 “순이익 예상치는 지난 2월 저점에서 상승 변곡점을 찍었다”고 말했다.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14일 기준 삼성전자의 12개월 예상 순이익 대비 PER은 10.92배로 1개월전 11.54배 대비 소폭 하락했다.
PER 하락은 삼성전자에 대한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향 조정이 주요 원인으로 풀이된다. 1개월 전 대비 주가 하락폭은 -2.9%인데 반해, 이 기간 2025년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33조7879억원으로 1개월 전 31조2630억원과 비교해 8.07% 상향 조정됐다.
삼성전자에 대한 실적 하향 조정이 일단락되면서 실적 전망치가 변곡점을 지났다는 분석이다. 안 연구원은 “이익 예상치는 최근 1년 중 지난 2월 초가 가장 바닥이었다”며 “삼성전자의 (이익 컨센서스) 상승 사이클은 이미 시작됐다”고 말했다.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5년전 수준으로 회귀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고 봤다. 현재 외국인 투자자가 보유한 코스피 시가총액 중 삼성전자 비중은 약 27.5%로 트럼프 행정부 1기인 2017년 수준으로 돌아갔다.
다만 주가 저평가로 인한 외국인 수급만으로는 상승 동력이 제한적이란 분석도 나온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기술 경쟁력 확인이 지연되고 있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관세 부과 불확실성 등이 변수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송명섭 iM투자증권 연구원은 “5만원대 중반의 주가 수준은 충분히 매력적이지만 고관세가 경제위기까지 불러온다면 역사적 최저점 수준인 지난해 11월 수준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HBM3E 12단 최대 고객사 확보 등도 아직 성공 여부를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경은 (ocami8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한덕수, 대선 불출마 가닥…최종 단일화 없을듯
- "무조건 90일 안에 보내달라"…베트남 공장에 美주문 폭주
- “세종에 대통령실 내려온다고?”…공무원들 '술렁'
- 전한길 “尹, 예수같다” 발언에…“염X하네~” 비판한 종교계
- 김수현, 악플 고소…"사이버 렉카·해외 플랫폼도 강경 대응" [공식]
- “네이버 주문으로 갈아타자”…배민發 ‘포장수수료’ 후폭풍
- “5만원 치킨 시켰는데 55만원 결제”…한국 바가지에 ‘눈물’
- "탈모인도 볼륨 머리 가능"…'마법의 샴푸' 2탄 떴다(영상)
- "서울에도 빈집이?" 대도시 방치된 빈집 '와르르'
- 이번엔 ‘옷’이다…다이소 “단돈 3천원에 ‘운동복’ 사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