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수업 참여율 기대밖 저조…대규모 유급 사태 가시화

신소윤 기자 2025. 4. 13. 17: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058명으로 확정할지를 두고 교육부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13일 교육부와 주요 대학에 따르면, 이번 주로 전망되던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 확정을 못하고 있다.

의대 수업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교육부가 당초 발표한 대로 의대 모집인원이 2024년 3058명보다 2천명 많은 '도로 5058명'이 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058명으로 확정할지를 두고 교육부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고려대, 연세대 등 상당수 의대에서 유급 가능성이 커지는 등 수업 참여율이 기대에 못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교육부와 주요 대학에 따르면, 이번 주로 전망되던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 확정을 못하고 있다. 대신 각 학교에 수업 정상화를 촉구하는 상황이다. 서울의 한 의대 교수는 “교육부가 (수업 참여율) 50%는 맞춰 달라고 하는데, 우리 학교는 많은 축에 드는 데도 50%가 안 된다. 전체적으로 수업 참여율이 낮아 30%가 안 되는 수준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의대생들이 수업 참여에 소극적이면서 유급 가능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고려대가 의학과 3·4학년 110여명을 유급하기로 했고, 연세대와 전남대, 아주대 등 상당수 의대에서도 이번 주에 유급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대부분 학교는 한 학기 수업일수의 3분의 1 혹은 4분의 1 이상을 결석하는 경우 유급 처분을 내린다. 이런 상황에 교육부는 의대 교육이 정상화됐다고 판단할 수 없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확정하지 못하는 처지다. 교육부 관계자는 “(유급 처분 도래 시점인) 14, 15일 학생 복귀율을 보고 3058명으로 갈지, 아닌지 결정을 어떻게든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 총장들 역시 의견이 엇갈린다. 한 비수도권 국립대 총장은 “원칙대로 해야지, 학생들이 돌아오지도 않았는데 ‘(정원 동결) 해줍시다’라고 하기도 어렵지 않겠냐”고 말했다. 반면 또 다른 비수도권 국립대 총장은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는 건 답답하지만, 그래도 불확실성을 하나라도 제거해주는 게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대 수업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교육부가 당초 발표한 대로 의대 모집인원이 2024년 3058명보다 2천명 많은 ‘도로 5058명’이 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교육부는 지난 3월7일 ‘3058명 동결’의 전제 조건으로 학생 전원 복귀를 내세웠고, 지켜지지 않을 경우 기존 증원한 숫자대로 모집하겠다고 했다.

신소윤 기자 yoo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