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옮긴대" 파다한 소문…세종 집값 순식간에 1억 뛰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종시의 아파트 거래량이 최근 한달 새 2배 가까이 늘고, 호가는 수천만원씩 뛰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세종시 집값은 정치권의 움직임에 크게 좌우되는 경향을 보여왔다"며 "법안 재추진과 같은 '가능성'이 아닌 행정수도 이전이 실행되어야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흥S클래스센텀뷰’ 전용 84㎡ 호가 1.2억원↑
‘수루배1단지’ 전용 84㎡ 7억원에 손바뀜
민주당 ‘신행정수도법’ 재추진에 매물 회수키도
“세종 집값 안정 위해선 확실히 실행해야” 지적
세종시의 아파트 거래량이 최근 한달 새 2배 가까이 늘고, 호가는 수천만원씩 뛰고 있다. 이달 초 더불어민주당이 ‘신행정수도건설특별조치법’을 재추진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치적인 재료로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11일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지난달 세종의 아파트 거래량은 735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372건)과 비교할 때 2배 가량 늘었다. 지난해 11월부터 거래량이 늘기 시작해 지난달 최근 3년 새 최대를 나타낸 것이다.
올해 들어 반곡, 소담, 어진동의 주요 단지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국회세종의사당이 들어설 예정인 세종동(S-1 생활권)과 인접한 지역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11월 6억4000만원에 거래됐던 반곡동 ‘수루배1단지캐슬&파밀리에디아트’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7억원에 매매됐다. 어진동 ‘중흥S클래스센텀뷰(한뜰마을6단지)’ 전용면적 84㎡는 최근 실거래가(7억3000만원)보다 1억2000만원 높은 8억5000만원(11층 기준)에 호가가 형성돼 있다. 세종에서 공인중개사무소를 운영하는 A씨는 “이달 들어 호가를 올려달라는 문의가 늘고 있다”며 “입지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대략 5000만원 정도의 상향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 분위기가 달아오르면서 매물을 거둬들이는 집주인은 늘고 있다. 아실에 따르면 세종의 아파트 매매 매물은 한달 전에 비해 8.2% 감소했다. 어진동 한 공인중개 관계자는 “대통령실 세종 이전 관련 보도가 나온 이후 매물을 거두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며 “가격이 더 오를 것이란 기대로 호가를 올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가 대전과 세종, 충북을 잇는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를 추진하고 있는 점도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세종의 아파트 가격은 2022년부터 장기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집값이 바닥을 찍었다”는 심리가 확산하는 와중에 ‘천도론’과 교통 인프라 등 개발 호재가 맞물리면서 세종 부동산 시장이 반등 채비를 하고 있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정치적인 요인뿐 아니라 수요와 공급, 공기관 입주 등 다양한 변수를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세종시 집값은 정치권의 움직임에 크게 좌우되는 경향을 보여왔다”며 “법안 재추진과 같은 ‘가능성’이 아닌 행정수도 이전이 실행되어야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손주형 기자 handbro@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홍철, 2억짜리 車 탄다더니…"거기서 왜 나와?" 깜짝 등장
- "여의도까지 20분 만에 간다"…'함박웃음' 짓는 이 동네 [집코노미-집집폭폭]
- '휴대폰 한달 요금 100원' 가성비에…너도나도 "갈아탑니다"
- 77억 주고 산 압구정 아파트, 3개월 만에 거래된 가격이…
- 7년간 347억 번 '전설의 연봉킹'…삼성증권 떠난다
- '음주 뺑소니·사체 유기' 조형기, 요즘 뭐하나 했더니…
- 김부선 "간이 배 밖으로 나왔나"…불륜설 퍼지자 '발끈'
- "6억에 샀는데 6000만원 됐다"…'유령 상가' 즐비한 동네
- 중국인들, 대게 얼마나 먹길래…노량진수산시장 갔다가 '당황'
- "LG의 반값" 불티나게 팔렸다…필수품 떠오른 '이 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