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하루만에 꺾인 미국 증시…나스닥 4.3%↓

정혜승 매경이코노미 인턴기자(jhs_0102@naver.com) 2025. 4. 11. 09: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욕 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로 급등했던 뉴욕증시 3대 지수가 10일(현지 시각) 하루 만에 급락했다. 미중 무역갈등이 다시 고조됐기 때문이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14.79포인트(–2.50%) 떨어진 3만9593.66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88.85포인트(–3.46%) 내린 5268.05를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는 737.66포인트(–4.31%) 하락한 1만6387.31에 장을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4월 9일 발표하면서 뉴욕증시는 폭등했다. 특히 나스닥 지수는 12.16% 급등해 역대 두 번째로 큰 일일 상승폭을 기록했었다. 그러나 3대 지수는 하루 만에 이 상승분 대부분을 반납했다.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신규 관세율이 앞서 발표한 125%가 아닌 총 145%라고 확인한 게 투자심리를 악화했다. 합성마약 펜타닐 대응 관련 관세 20%를 더했기 때문이다.

특히 기술주와 에너지 관련주의 낙폭이 컸다. 테슬라는 7.22% 급락했고, 엔비디아는 5.91% 떨어졌다. 애플(-4.23%), 메타(-6.74%), 아마존(-5.17%) 등 대형 기술주 낙폭이 컸다. 침체 우려에 국제유가가 반락하면서 엑손모빌(-5.55%), 셰브런(-7.57%) 등 대형 에너지주도 급락했다.

반면 월마트(1.09%), 유나이티드헬스그룹(2.68%), 코카콜라(1.17%), T모바일(0.48%) 등 필수소비재 관련주와 경기방어주는 선방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