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등록보다 폐업이 더 많다… 13년 만에 최악의 위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설사 폐업 신고 건수가 등록 건수를 13년 만에 앞질렀다.
최악의 건설 경기 침체 속에 실적을 내기 어려워진 건설사들이 줄줄이 문을 닫으면서, 새로 건설업에 뛰어드는 이들이 확 줄어든 결과다.
8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종합건설업 폐업 신고 건수는 206건으로 집계됐다.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사 대부분은 사유에 대해 '사업포기'라고 적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1년 4분기 폐업 159건·등록 152건 이후 처음
건설사 폐업 신고 건수가 등록 건수를 13년 만에 앞질렀다. 최악의 건설 경기 침체 속에 실적을 내기 어려워진 건설사들이 줄줄이 문을 닫으면서, 새로 건설업에 뛰어드는 이들이 확 줄어든 결과다. 전문가들은 건설업 생태계가 고사하기 전에 새로운 정부가 시장을 살리기 위한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조언했다.
8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종합건설업 폐업 신고 건수는 206건으로 집계됐다.
건설 경기가 시간이 지날수록 침체의 수렁으로 더욱 빠져드는 모습이다. 지난해 1분기 폐업 건수는 134건이었는데 같은 해 2분기 158건으로 늘었다. 3분기에는 폐업 신고 건수가 소폭 감소(143건)했다가 4분기에 급증했다.
폐업하는 업체가 줄을 서다 보니 등록 건수를 앞지르기도 했다. 지난해 4분기 등록 건수는 134건으로 폐업 건수가 72건 많다. 이처럼 폐업 신고가 등록보다 많은 것은 2011년 4분기 이후 처음이다. 당시 폐업 신고 건수는 159건, 등록은 152건을 기록했다.
올해도 폐업 신고 건수가 등록을 웃도는 상황은 이어지고 있다. 올해 1분기에도 폐업 신고는 160건을 기록한 반면 등록은 131건인 것으로 파악됐다.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사 대부분은 사유에 대해 '사업포기'라고 적시했다. 종합건설사는 전체적인 계획·관리를 하면서 시설물을 시공하는데, 고금리, 공사비 상승,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축 등으로 인해 일감이 크게 감소했다. 특히 지방의 경우 미분양 사태가 이어지는 등 최악의 상황을 겪고 있어 피해가 더 크다.
중견 건설사들도 하루가 다르게 유동성이 마르면서 기업 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에 나섰다. 도급순위 134위이자 70년가량의 업력을 가진 이화공영은 지난 1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와 회사 재산 보전처분 등을 신청했다. 지난해 재무제표와 관련해 '계속 기업 존속 능력 불확실성'을 이유로 감사 의견이 거절됐다.
지난 1월에는 시공능력평가순위 58위 신동아건설에 대한 회생절차 개시가 결정됐다. 결정을 내린 서울회생법원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 분양시장 침체에 따른 사업 차질, 공사 미수금 증가 등으로 인해 자금 유동성이 악화됐다"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대저건설(103위),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벽산엔지니어링(180위) 등도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의 파고가 중소 건설사에게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우수한 사업장의 경우 1군 건설사를 주로 선택하다보니 규모가 작은 건설사는 사업성이 부족한 곳의 시공을 진행하게 된다"라며 "고금리로 인해 자본 조달 비용까지 높아 사업 환경이 계속 악화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게 되면 시장을 살릴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 위원은 "지난 정부에서도 건설업에 대한 지원이 있었고 PF 부실 등 문제들이 나빠지지 않도록 지연했다"면서 "앞으로는 신규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현재 막혀있는 재정비 사업이나 민간 공공 임대 사업 등을 조속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은행도 2600억원 당했다"…명문대 출신 30대 금수저, 사기 수법이 - 아시아경제
- 장난 삼아 내놨는데 48시간만에 품절대란…'치킨맛 치약' 뭐길래 - 아시아경제
- 박보검·아이유 사진이 왜 여기에?…'폭싹' 불법시청 中 초상권 무단 사용 - 아시아경제
- "분수에 맞게 살려 노력"…배우 한소희, 블로그 '눈길' - 아시아경제
- "엄마들 사이에선 사이버 오은영 선생님이에요"…'신종 육아법' 깜짝 - 아시아경제
- 차기대선 이재명 48.8% 1위…한덕수 국힘 내 2위 부상[폴폴뉴스] - 아시아경제
- "재택근무 중 일하는 척"…키보드 2100만번 누른 女형사 해고 - 아시아경제
- "못생긴 일본인이라 말하며 때려"…오노 요코, 비틀스 팬들에 겪은 수난 고백 - 아시아경제
-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싼 요금제, 알고보니…" 유명 유튜버가 통신사 저격한 이유 - 아시아경제
- 유정복, '진짜 대통령 될 것' 이재명 발언에 "갈라치기·저열한 정치"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