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中 이외의 나라들과 관세협상 즉시 개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의 '관세 폭탄'으로 최근 세계 주요국 주식시장이 급락하고 중국과 유럽연합(EU) 등도 보복으로 맞서면서 각국 금융시장이 격랑에 빠졌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 관세에 대응에 부과하는 34%의 보복관세를 8일(현지 시간)까지 철회하지 않으면 그 하루 뒤부턴 추가로 50%의 관세를 중국에 부과하겠다고 7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 보복관세 철회 안하면 50% 추가”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 시간) 기자회견에서 ‘관세 정책으로 인한 미국 주식 시장의 고통을 어느 수준까지 감내하겠냐’는 질문에 “때로 무엇인가를 고치려면 약(medicine)을 먹어야 한다”고 답했다. 3, 4일 뉴욕 증시가 이틀 연속 급락했지만 관세 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불가피한 현상이라는 뜻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그는 7일 트루스소셜에도 “오랫동안 (교역국)으로부터 학대받은 미국은 관세 덕분에 ‘학대국들’로부터 매주 수십억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다. 가장 큰 학대국인 ‘중국’의 금융시장 또한 (관세 여파)로 붕괴 중”이라고 정책 정당성을 주장했다. 관세 정책을 주도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또한 6일 기존에 밝힌 대로 9일부터 상호관세를 강행하겠다며 “연기는 없다”고 못 박았다.
하지만 이 같은 행보가 미 경제를 침체로 빠뜨릴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래리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은 같은 날 이번 관세가 “미 역사상 가장 큰 자해(self-inflicted wound)”라고 비판했다. ‘월가 황제’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최고경영자(CEO) 또한 7일 주주 서한에서 관세가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성장 둔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워싱턴=신진우 특파원 niceshin@donga.com
이지윤 기자 asap@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트럼프 “中 이외의 나라들과 관세협상 즉시 개시”
- 이재명 “권력개편 개헌, 논쟁만 커질수도… 대선후 추진하면 돼”
- [사설]‘美 관세 쇼크’에 블랙먼데이… 亞 덮친 “경제적 핵전쟁” 공포
- [사설]명태균, 채 상병, 도이치… 尹에 막혀 지체된 의혹 수사 서둘라
- [사설]용두사미 된 의료-노동개혁… 차기 정부 반면교사 삼아야
- [횡설수설/신광영]‘다크 투어리즘’ 현장 된 탄핵집회
- [단독]서울대 의대 5명 빼고 전원 복귀…연세대, 4학년에 유급 예정 통보
- [단독]연금개혁으로 50세는 낸 돈보다 2.6배 받지만, 20세는 1.7배 받는다
- [단독]거의 따라잡은 중국, 美와 AI 격차 단 0.3%P
- ‘액상대마 찾다 적발’ 이철규 아들, 모발서 대마 ‘양성’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