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관세폭탄보다 더 분노한 건…타이완 ‘국가’ 분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율을 발표하면서 타이완을 '국가'(Country)로 분류한 자료를 제시하자 미국 주재 중국 대사가 불만을 표시했습니다.
셰 대사가 이러한 글을 올린 것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하면서 타이완을 '국가'로 표기한 자료를 가지고 나온 데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율을 발표하면서 타이완을 ‘국가’(Country)로 분류한 자료를 제시하자 미국 주재 중국 대사가 불만을 표시했습니다.
3일 홍콩 일간 싱타오와 중국 관찰자망 등에 따르면 셰펑 주미 중국 대사는 미국시간으로 2일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직후 엑스(X) 계정에 “타이완은 중국의 타이완”이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셰 대사는 “우리는 앞으로도 전심전력으로 평화적인 통일을 위해 노력하겠지만, 그 어떠한 형태의 ‘타이완 독립’ 세력에는 절대로 여지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타이완 문제 해결은 중국인의 일이고 중국인이 결정해야 한다”고 말한 과거 연설 영상을 첨부했습니다.
셰 대사가 이러한 글을 올린 것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하면서 타이완을 ‘국가’로 표기한 자료를 가지고 나온 데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별 상호관세율이 일람표 형식으로 정리된 패널을 꺼내 들고, 표에 적힌 국가와 지역 이름을 순서대로 하나씩 거명하면서 상호관세율 등 수치와 책정 배경 등을 설명했습니다.
이 표의 ‘국가’(Country) 항목에서 제일 위에는 중국이 있었고 유럽연합(EU), 베트남에 이어 타이완이 네 번째로 올랐습니다. 이러한 표기는 중국의 입장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타이완을 비롯한 외신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중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워 타이완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외국에도 타이완을 지칭·표기할 때 중국의 일부로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해왔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멍청한 관세 계산법!”…25%라더니 갑자기 26%로 바꿔 [지금뉴스]
- 심우정 딸 이전 지원자의 불합격 사유가 ‘서툰 한국어?’…“납득이 됩니까!” [지금뉴스]
- ‘2차 계엄’ 질문 나오자, 국방부의 확고한 입장 확인 [지금뉴스]
- 탄핵선고 하루 전…여 “복귀시 개헌 추진”, 야 “민심은 대통령 파면”
- ‘관세율 25%’ 산출한 의문의 공식…챗GPT에 물어보니
- 금고서 10억 훔친 수협 직원 송치…사라진 돈은 어디에?
- “오징어 게임 같습니다”…해고된 줄 모르고 출근을 했다 [지금뉴스]
- “대구 대학병원 신생아 학대 간호사 더 있다”
- “사랑합니다” 눈물의 삼창…3대 걸친 4·3 유족의 사연 [현장영상]
- ‘집에서 임종’ 14%뿐…“삶의 끝은 가족 품이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