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서유지·경호 등 고려···尹 탄핵심판 관저서 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4일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리는 탄핵심판 선고에 출석하지 않는다.
질서 유지와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결정했다는 게 윤 대통령 측 설명이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3일 "대통령이 내일 예정된 탄핵심판 서고기일에 출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혼잡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질서 유지와 대통령 경호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탄핵심판 선고기일에는 윤 대통령 대리인단이 출석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회 측 12·3 비상계엄 등 헌법·법률 위반
尹 측 野 횡포 따른 경고성···법률 위반 無
파면 시 조기 대선···기각·각하면 尹 복귀
윤석열 대통령이 4일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리는 탄핵심판 선고에 출석하지 않는다. 질서 유지와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결정했다는 게 윤 대통령 측 설명이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3일 “대통령이 내일 예정된 탄핵심판 서고기일에 출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혼잡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질서 유지와 대통령 경호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탄핵심판 선고기일에는 윤 대통령 대리인단이 출석한다. 윤 대통령은 한남동 관저에서 TV로 실시간 생중계되는 헌재의 탄핵심판 선고를 지켜볼 것으로 보인다.
헌재는 지난 1일 윤 대통령 탄핵 선고 날짜를 4일 11시로 지정·공개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14일 국회가 탄핵소추안을 의결한 지 111일 만으로 앞서 두 차례 탄핵심판 기간을 넘어선 최장 기록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탄핵소추안이 국회 문턱을 넘은 지 63일, 91일 만에 인용·기각·각하 등 선고가 이뤄졌다. 앞서 국회는 지난해 12월 14일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본회의에서 가결한 뒤 헌재에 접수했다. 윤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군을 투입하는 등 헌법과 법률을 중대하게 위반했다는 것이 소추 사유다. 반면 윤 대통령 측은 비상계엄은 거대 야당의 횡포에 대한 ‘경고성’이었으며 선포·유지·해제 과정에서 법률 위반이 없었다는 입장이다.
헌재 재판관 8명 가운데 6명 이상이 탄핵을 인용하면 윤 대통령은 즉각 파면된다. 이 경우 파면 후 60일이 지난 6월 3일이 대선일이 될 전망이다. 반면 재판관 3인 이상이 기각하거나 탄핵소추가 형식적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는 이유로 각하되면 윤 대통령은 집무실에 복귀한다.
안현덕 법조전문기자 always@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만원이 곧 30만원 된다'…'부자아빠', 비트코인 대신 강력 추천한 '이것'
- '尹선고 결과는?' 챗GPT에 물어봤더니 돌아온 답…'90% 확률로 ㅇㅇ'
- '술 좀 끊고 열심히 살아' 엄마 충고에 흉기 휘두른 30대…2심서 '감형' 왜?
- 김수현 측 '설리, '리얼' 베드신 충분히 검토하고 촬영'
- '배달음식 시켜 먹었다가 그만'…팔팔 끓여도 안 죽는 '이 식중독균' 비상
- “미성년 교제 제대로 인정하라”…故김새론 친구 8명, 성명서 준비 중
- '내 월급만 빼고 다 오르네'…지코바치킨, 전메뉴 '2500원' 올린다
- 3점 12개에 52점…커리, 골든스테이트 3연승 견인
- '30년 내 '규모9' 난카이 대지진 가능성 80%…발생하면 30만명 죽는다'
- '알맹이 없어, 차라리 가만히 있어야'…현직 변호사가 본 김수현 눈물의 기자회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