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 라이벌의 엇갈린 운명' LG 7연승 질주, 두산 최하위 추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프로야구 시즌이 막 시작했지만, 잠실을 나누어 쓰는 두 팀의 운명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역대 개막 최다 연승 신기록인 7연승으로 단독 선두를 달리는 LG 트윈스와 달리, 한때 리그를 호령하던 두산 베어스는 마운드 위기와 타선 침체로 최하위까지 떨어지는 충격적인 상황을 맞았다.
지난 시즌 정규리그 4위로 가을야구에 진출했던 두산은 와일드카드전에서 KT에 첫 번째 업셋을 당한 뒤, 반등을 위해 파격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시즌 정규리그 4위로 가을야구에 진출했던 두산은 와일드카드전에서 KT에 첫 번째 업셋을 당한 뒤, 반등을 위해 파격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외국인 선수 영입에 과감한 투자를 단행하는 한편 '야수진 리빌딩'을 공식화하며 무한경쟁 체제로 팀 색깔을 바꿨다.
스프링캠프에서는 롯데와의 트레이드로 영입한 김민석과 추재현이 눈부신 활약을 펼쳐 팬들의 기대를 한껏 부풀렸다. 일부 전문가들은 "지난해에도 외국인 선수들의 잇단 부진과 부상 속에서 4위를 차지했으니, 올해는 외인들만 제 몫을 해준다면 충분히 상위권 경쟁이 가능하다"는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시즌이 시작되자 두산의 현실은 냉혹했다. 메이저리그 현역 출신 콜 어빈과 잭 로그라는 화려한 '원투 펀치'를 앞세운 개막 2연전에서 SSG에 연달아 패했다. 이어 KT와의 수원 3연전에서 1승 2패, 삼성과의 홈 3연전에서도 1승 2패를 기록하며 개막 8경기에서 고작 2승만을 챙겼다. 특히 삼성전에서 2-13, 2-3으로 완패하자 팬들은 "과거 '허슬두'의 투혼은 어디로 사라졌느냐"며 쓴소리를 쏟아냈다.
두산의 부진에는 불가항력적 요소도 분명 존재한다. 개막을 앞두고 선발 투수 곽빈과 불펜의 핵심 홍건희가 부상으로 이탈했고, 필승조 이병헌과 최지강마저 전력에서 빠졌다. "주요 불펜이 모두 없는데 어떻게 승리를 거두겠느냐"는 항변도 가능하지만, 팬들은 "지난 시즌 과도한 연투와 혹사가 올해의 부상 연쇄로 이어진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흔들리는 마운드를 타선이 받쳐주어야 하지만, 두산의 팀 타율은 0.223으로 리그 8위에 그치고 있다. 주축 타자들의 부진이 두드러진다. 양의지는 타율 0.174, 김재환은 0.242, 양석환은 0.231로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스프링캠프에서 돋보인 활약으로 리드오프 자리를 꿰찬 김민석도 타율 0.192에 그쳤고, 새 주전 2루수로 기대를 모은 오명진은 4경기 13타수 무안타라는 충격적인 성적을 내고 있다.
지난 시즌 대체 외국인으로 활약했던 제러드 영 대신 영입한 제이크 케이브도 8경기 타율 0.214로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타자에게 기대되는 홈런포가 단 한 개도 터지지 않은 점은 더욱 실망스러운 부분이다.
올해는 어느 때보다 치열한 순위 다툼이 예상되는 만큼, 초반 부진이 시즌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두산은 당장 잠실에서 열리는 키움과의 홈경기에서 반등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
지난해 신인왕 마무리 김택연이 팀의 2승 모두에서 세이브를 기록하며 변함없는 구위를 자랑하는 점은 그나마 위안거리다. 당분간 불펜 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두산으로서는 선발 투수들의 이닝 소화력과 타선의 회복이 절실한 과제로 떠올랐다.
[진병두 마니아타임즈 기자/maniareport@naver.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Copyright © 마니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