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미분양’ 19개월 연속 증가…지방이 더 심각

이유림 2025. 4. 1. 15: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준공 후 분양이 되지 않는 '악성미분양'이 19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9179가구에 달했다.

2월 말 기준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4543가구로 1월 대비 2.2%(97가구) 증가했다.

경남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459가구로 1월 대비 427가구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송파구와 강남구 아파트 단지 모습. 곽경근 대기자 

준공 후 분양이 되지 않는 ‘악성미분양’이 19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9179가구에 달했다.

1일 국토교통부의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2월 말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7만61가구다. 1월 대비 3.5%(2563가구) 감소했다. 지역별로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1만7600가구, 지방은 5만2461가구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023년 8월 이후 19개월 연속 증가 추세다. 2월 말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3722가구로 2013년 9월(2만4667가구)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2월 말 기준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4543가구로 1월 대비 2.2%(97가구) 증가했다. 지방은 1만9179가구로 4.1%(753가구) 늘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2월 말 기준 경상남도다. 경남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459가구로 1월 대비 427가구 증가했다. 경상북도가 그 뒤를 이었다. 경북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502가구로 1월 대비 288가구 늘었다.

85㎡(25.7평) 초과 미분양은 1만684호로 지난 1월 대비 1.8% 감소했다. 85㎡ 이하는 5만9377호로 1월 대비 3.8% 줄었다.

반면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698건으로 1월 대비 32.3%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6.6% 늘었다. 수도권 매매거래는 2만4026건으로 1월 대비 34.6% 증가했다. 그중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4743건 이뤄졌다. 봄 이사철 수요 증가, 금리 인하 기대감,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 해제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 업계는 악성미분양을 해결하려면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윤지해 부동산 114 수석연구원은 “준공 후 미분양은 건설사에게 큰 부담”이라며 “건설과 관련된 중개사무소, 이사 업체, 인테리어 업체 등도 같이 침체될 수 있어 위험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세제 혜택이 필요하다”며 “세금 우대나 대출 우대 같은 정책을 펼쳐 악성미분양을 해소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유림 기자 reason@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