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형 핵융합로 개발,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앞당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원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교수는 "고온초전도체·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도입한 혁신형 핵융합로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고 밝혔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제는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대비한 도전적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면서 "이번 포럼을 계기로 혁신형 핵융합로 개발을 촉진하고, 산·학·연 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핵융합 실증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원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교수는 "고온초전도체·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도입한 혁신형 핵융합로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일 오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서 개최한 '민관협력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 포럼'에서는 최 교수를 비롯한 국내 핵융합 분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 글로벌 핵융합에너지 확보 경쟁에서 앞서기 위한 다양한 과제들이 논의됐다.
최근 전 산업 인공지능(AI)·디지털화로 인한 에너지 수요 증가에 대응해 핵융합 주요국들은 민간기업과 협력을 바탕으로 전력실증을 2030∼2040년대로 앞당기는 도전적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핵융합 유망 기업들은 핵융합에너지 조기 상용화를 위해 소형화를 중심으로 한 소형토카막이나 레이저 등의 '혁신형 핵융합로'를 적극적으로 개발 중이다.
미국 등 7개국은 공동으로 개발 중인 국제핵융합로(ITER) 프로젝트를 통한 설계, 제작 및 운영 기술 등을 획득하는 전략과 함께 자체적으로 핵융합로의 소형화 등 혁신 전략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이번 포럼에서는 혁신형 핵융합로의 개념과 필요성, 민관협력 전략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윤시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부원장은 '혁신형 핵융합로 도입에 따른 주요 파라미터 제안 및 단계별 추진 전략'을 통해 기존 토카막 방식의 핵융합장치보다 작지만, 성능이 뛰어난 '한국형 혁신 핵융합로'를 제안하면서 혁신형 핵융합로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단계별 추진 전략을 제시하고, "공공과 민간의 협력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산·학·연 전문가들이 혁신형 핵융합로의 도입 타당성, 핵융합 산업 생태계 조성, 민간 기업의 참여 확대 방안, 연구·개발(R&D) 투자 활성화 전략 등을 논의하며, 핵융합 기술의 실질적인 상용화 가능성을 모색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제는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대비한 도전적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면서 "이번 포럼을 계기로 혁신형 핵융합로 개발을 촉진하고, 산·학·연 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핵융합 실증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은 끝났다…아마 돌이킬 수 없을 듯" 섬뜩 경고 날린 2380만 유튜버 - 아시아경제
- 2000만t 희토류 '잭팟' 터졌다…단숨에 세계 3위된 이곳 - 아시아경제
- 월급 안 부럽네… 월 500만원씩 따박따박 국민연금 받는 부부 첫 탄생 - 아시아경제
- "맨발로 팬티 입으면 피부병 생긴다"…이유가 뭐길래 - 아시아경제
- "월급 실화?""휴일도 출근?"…입사 첫날부터 관두는 日 직장인들 - 아시아경제
- 1500원짜리 커피 팔아 스타벅스 추월…작년 영업익 1000억 돌파했다 - 아시아경제
- "싸구려 취급 더는 못 참아"…'지브리 프사' 인기에 분노 폭발한 日감독 - 아시아경제
- "행운 온다" 너도 나도 쓱쓱…동상 가슴 훼손에 칼 빼든 도시 - 아시아경제
- "아이폰 333만원 된다"…트럼프 관세폭탄 최악 전망 - 아시아경제
- 동물단체 반발 속 "곰 350마리 없애겠다"…이유를 들어보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