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조대 필수추경"... 정부 추진 공식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산불 피해 복구와 통상 리스크 대응, 민생 지원 등을 위한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가경정예산(추경)' 추진을 공식화했다.
산불 피해 대응, 미국발(發) 통상리스크와 내수 진작 등 여야의 입장차가 크지 않은 필수 사안에 재정을 신속하게 투입할 계획이다.
이번 추경은 여야 이견이 없는 △재난·재해 대응 △통상 및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 3대 분야로 한정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 대행 "4월 처리 여야 협의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시급한 현안 해결을 위한 신속 집행 가능한 사업만을 포함해 추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도 "여야와 협의해 4월쯤에는 이제 이 (추경) 예산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추경 추진에 무게를 실었다.
그동안 정부는 추경을 위해서는 여야정이 참여하는 국정협의체의 가이드 라인 마련을 전제로 해왔지만, 이번에는 입장을 바꿔 선제적으로 벚꽃 추경 추진에 나선 것이다. 이번 추경은 여야 이견이 없는 △재난·재해 대응 △통상 및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 3대 분야로 한정됐다. 정부는 여야의 협조가 신속히 이뤄진다면 4월 중 추경 편성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최 부총리는 "최근 산불로 4만8000ha 규모의 산림 피해와 75명의 사상자 등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며 "신속한 산불 피해 복구와 피해 주민의 조속한 일상 복귀를 위한 재원을 충분히 확보하고,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산불 예방·진화 체계 고도화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통상 대응 측면에서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상호 관세 정책이 본격화될 가능성에 대응한 조치도 포함됐다.
이날 저녁 특별생방송에 출연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정부가 추경 예상안의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재난을 포함하기로 결정했다"며 "4월 여야 협의를 통해 추경이 통과돼야 피해 복구에 실질적으로 투입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피해 농가 종자·농기계 확보, 완파 주택 복구, 임시 주거시설 마련 등을 추경 활용 분야로 제시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돈만 받으면 괜찮은 걸까"..장제원, '성폭행' 고소한 비서 피해정황 글 나와
- 故 송해, 95세 사망원인은 심근경색…"화장실 문에 기댄 채 발견"
- 장영란 가슴에 손댄 김영철, "남편에 죄송" 사과후 비난 쏟아져…왜?
- 황신혜 엄마도 미인…"86세에 미니스커트라니"
- "아버지가 범인"…양평 주택화재 40대 부부 사망사건 '공소권없음'
- '박성광 아내' 이솔이, 암투병 고백 "아이 못 가져"
- 가세연, 김수현 침대서 잠든 '17살' 김새론 영상 공개…식탁엔 소주잔 2개
- 노엘, 父장제원 비보 후 심경 "무너지거나 할 일 없으니…"
- '자연 임신'으로 10번째 아이 낳은 66세 여성
- '김수현 양다리' 해명한 서예지 "불어난 오해에 큰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