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의대 전원 복귀 결정… 대학 전격 수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속속 복귀를 결정한 가운데 부산대 의대도 30일 모두 복귀하기로 했다.
정부는 31일 전국 의대생 복귀 현황을 취합하고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한 뒤 이르면 이번 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한 입장을 발표할 전망이다.
부산대는 의대생 비상대책위원회가 이날 오후 회의를 거쳐 미복귀 학생 600여명이 모두 복학하기로 결정했다고 알려왔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속속 복귀를 결정한 가운데 부산대 의대도 30일 모두 복귀하기로 했다. 정부는 31일 전국 의대생 복귀 현황을 취합하고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한 뒤 이르면 이번 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한 입장을 발표할 전망이다.
부산대는 의대생 비상대책위원회가 이날 오후 회의를 거쳐 미복귀 학생 600여명이 모두 복학하기로 결정했다고 알려왔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대학 측은 오후 6시부터 전산망을 다시 열어 의대생들의 복학과 수강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대학 측은 이르면 오는 31일부터 의대생들이 수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부산대 의대는 애초 지난 27일 오후 6시까지 의과대학 복학·등록·수강 신청을 받고, 이때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31일 제적 예정을 통보한 뒤 4월 5일부터 본격적인 제적 절차에 들어가겠다고 예고했다. 그러나 의대생들이 뒤늦게라도 복귀 의사를 밝히자 전격 수용하기로 했다.
다만 제적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복귀를 결정했으나 재휴학, 수업거부 등의 방식으로 투쟁을 계속하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서울대, 연세대 등 일부 의대 학생회는 기존의 미등록 휴학에서 등록 후 휴학·수업거부로 투쟁 방식을 변경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교육부는 예고한 대로 31일 전국 40개 의대의 학생 복귀 현황을 취합한다. 전체 복귀자 수를 정리하면 이를 ‘전원’으로 볼지 판단한다.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과 관련한 입장 등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