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중국해 실효 지배 확대 방식과 유사” …中 서해 구조물 ‘회색지대 전술’ 우려
관할권 주장 동경 124도 서쪽 위치
‘단순한 민간 시설 넘어선다’ 지적
2월 조사 활동하다 대치하기도
정부 “해양 권익 침해 땐 적극 대응”
전문가 “조율할 채널부터 만들어야”
선란 1·2호의 경우 규모와 성격, 전략적 위치 면에서 이전 사례와는 차별되기 때문에 단순한 양식장을 넘어선 ‘해양 질서 밀어붙이기’의 일환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구조물이 민간업체의 연어 양식장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이빙(戴兵) 주한 중국대사도 지난 24일 한국 인사들과의 면담에서 ‘양식용’이라는 설명을 거듭 반복했다. 하지만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중국이 구조물 설치를 통해 사실상의 해양 경계선 설정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번 조치는 남중국해에서 인공섬과 해양기지를 설치해 실효 지배를 확대해 온 ‘회색지대 전술’의 연장선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2018년 선란 1호가 설치됐고, 선란 2호의 경우 지난해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달 26일에는 한국 해양조사선 온누리호가 해당 구조물 인근에서 조사 활동을 하다가 중국 측의 제지로 수시간 대치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다만 구조물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문제 삼기는 어렵다는 반론도 나온다. PMZ는 원래 양국이 해양 경계를 확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자의 권리 주장을 유보하고 공동으로 어업을 관리하기로 한 수역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 문제를 엄중히 바라보되 지나친 정쟁화보다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양희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장은 “중국이 양식 시설을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을 설치한 것에 대해 정부도 조사선을 보내 중국이 추가로 다른 행위를 하는지 보고 있다”며 “이 내용이 지나치게 정쟁화되거나 조사 일정 등이 외부에 알려지는 것은 선박 연구자 안전이나 조사의 효과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최진백 국립외교원 중국연구센터 교수는 “중국이 구조물을 설치한 데 대해 우리가 대응하는 모습이 없으면 원래부터 시설이 있었던 것처럼 하거나 군사 시설 등으로 만들 위험이 있다”며 “관리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면서 시정 조치 및 외교적 협의를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정치화시키지 않아도 될 문제를 키우기보다는 이 문제를 조율할 채널을 먼저 만들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베이징=이우중 특파원, 정지혜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아빠 유전자 5% + 엄마 미모 몰빵…개그맨 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상대 누군가 했더니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