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기업 17만개 돌파… 매출·영업이익은 오히려 ‘감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애인이 대표자인 장애인기업 수가 꾸준히 증가해 2023년 17만개를 돌파했다.
30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해 9∼12월 전국 장애인기업 5000곳을 대상으로 한 '2023 장애인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장애인기업은 17만4344개로 전년보다 5.9% 증가했다.
장애인기업의 총매출액은 69조6601억원으로 7.3%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6조5326억원으로 14.3% 줄었다.
장애인기업 중 소상공인은 16만569개로 92.1%를 차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애인이 대표자인 장애인기업 수가 꾸준히 증가해 2023년 17만개를 돌파했다. 하지만 이들의 총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영업이익은 3700만원으로 소상공인은 3000만원, 중소기업은 1억2700만원으로 조사됐다.
장애인기업 중 46.7%는 부채가 있으며 부채총액은 31조9000억원으로 기업당 평균 부채액은 1억8000만원으로 집계됐다.
대표자의 장애 유형은 지체장애가 69.1%였고 시각장애 10.3%, 청각장애 7.9%였으며 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증장애가 83.1%였다.
전체 종사자 수는 57만8천280명으로 6.1% 증가했다. 전체 종사자 중 장애인 종사자 수는 31.8%를 차지했다.
장애인기업 중 소상공인은 16만569개로 92.1%를 차지했다. 중소기업은 1만3775개로 7.9% 수준이었다. 전년보다 소상공인 비율은 7.9% 증가하고 중소기업은 13.5%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이 29.7%로 가장 많고 이어 제조업(15.5%), 숙박·음식점업(15.2%) 순이었다.
장애인기업이 희망하는 지원정책으로는 금융이 63.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세제(54.8%), 판로(37.7%) 등이 뒤를 이었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기업의 성장단계에 맞춘 맞춤형 지원정책을 한층 강화해 장애인기업 자립 기반 강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아빠 유전자 5% + 엄마 미모 몰빵…개그맨 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상대 누군가 했더니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