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실업률 비수도권 최하위...취업자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남이 비수도권 광역지자체 중 실업률 최하위를 기록했다.
반면, 취업자 수도 늘어났으며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의 수 모두 증가했다.
40대를 제외한 전 연령의 취업자 수가 전년동월대비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농업·임업 및 어업이 전년동월 대비 10.6% 증가했으며 제조업 2.2%, 건설업 1.3%, 도소매·숙박음식점업 4.3%, 사업·개인·공공 서비스 3.9%, 전기·운수·통신·금융 13.7% 모두 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취업자수는 5만명 증가
[아산]충남이 비수도권 광역지자체 중 실업률 최하위를 기록했다. 반면, 취업자 수도 늘어났으며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의 수 모두 증가했다.
충남경제진흥원이 발간한 '2025년 2월 충남 고용동향'에 따르면 충남의 실업률은 3.7%로 대구, 인천과 함께 전국 14위에 위치했다. 전년 동월(3.9%), 전월(4.0%)보다는 감소한 수치다. 타 시도의 실업률 개선이 순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충남보다 실업률이 높은 지역은 서울(4.7%)이 유일했다.
고용률은 62.3%로 전국 광역지자체 7위에 올랐다. 전년동월(60.4%), 전월(61.7%)과 비교해 각각 증가했다. 취업자수는 122만 700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5만 4000명 늘었다.
40대를 제외한 전 연령의 취업자 수가 전년동월대비 증가했다. 전년동월대비 10대는 16.7%, 20대 0.7%, 30대 6.1%, 50대 3.4%, 60세 이상 13.4% 각각 늘어났다. 특히 지난해 연중 감소세를 보이던 10대 취업자가 반등했다. 40대는 1.9% 줄었다.
산업별로는 농업·임업 및 어업이 전년동월 대비 10.6% 증가했으며 제조업 2.2%, 건설업 1.3%, 도소매·숙박음식점업 4.3%, 사업·개인·공공 서비스 3.9%, 전기·운수·통신·금융 13.7% 모두 늘었다.
직업별로는 관리직과 사무 종사자가 각각 전년동월대비 27.3%, 1.0% 줄었다. 숫자로는 약 5000명이다. 반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15.6%)와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12.9%), 기능원 및 기능 종사자(8.9%)가 크게 늘었다.
전체 취업자 중 비임금근로자는 29만 7000명, 24.2%로 전년 같은 달보다 4.2% 더 늘어났다. 자영업자가 4.9% 증가하였으며 무급가족종사자는 변화 없었다. 자영업자는 여름에 증가하고 겨울에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임금근로자 역시 93만 명(비중 75.8%)으로 전년 동월보다 4.7% 증가했다. 상용근로자는 73만 명으로 4.7%, 임시근로자는 17만 명으로 5.6% 각각 늘어났다. 일시휴직자는 2만 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나 줄었다.
#충남 #아산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랑한다" 가족 향한 장제원 유서… 성폭력 고소인 기자회견은 취소 - 대전일보
- 대전오월드서 에어컨 실외기 설치하던 근로자 추락해 숨져 - 대전일보
- 尹 운명의 날… 8명 중 6인 이상 찬성시 파면 or 직무복귀 - 대전일보
- "이 사진도 지브리 느낌으로" 챗GPT 이미지생성 열풍 - 대전일보
- 하태경 "짝지 장제원, 의리있는 정치인…정당한 평가와 추모해줘야" - 대전일보
- 창의적 배움터… 세종 학생들이 일군 '세종꿈마루' - 대전일보
- 野, 한덕수 대행 거부권에 "상법개정 포기 않겠다" - 대전일보
- 금값 또 사상 최고 경신…'상호관세' 하루 앞두고 - 대전일보
- 줄 서서 먹는 '성심당 딸기시루'의 비밀 아시나요? - 대전일보
- 충청 여야, 尹 선고일 지정에 "기각·각하로 돌아선 것" vs "기필코 탄핵"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