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민지원·산림복구 등…'사후대책'이라도, 이번엔 제대로

이승형 2025. 3. 28. 17: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천여명 생활터전 잃고, 기약없는 대피소 생활…역대최대 피해 산림회복 난제
"이젠 복구와의 싸움"…"산림·문화재 등 복원에 엄청난 시간 필요"
'먹어야 버틴다' (영양=연합뉴스) 박세진 기자 = 28일 경북 영양군 이재민 대피소인 영양군민회관에서 이재민들이 식사하고 있다. 2025.3.28 psjpsj@yna.co.kr

(안동·의성=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의성에서 시작돼 경북 북동부를 휩쓸며 국토를 잿더미로 만든 산불이 진화됐지만 이재민 대책, 산림 및 문화재 복구 등 앞으로의 과제도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다.

이번 산불은 역대 최대 규모의 산림 피해와 함께 경북 북부권 주민의 삶을 송두리째 무너져 내리게 했다.

화염과 하늘을 뒤덮은 짙은 연기 등으로 일상이 숨 막히는 순간순간의 연속이었다.

통신, 전기마저 곳곳이 두절돼 발을 동동 구르게 했다

28일 산림 당국과 경북지역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명과 산림, 주택, 문화재 등 모든 면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를 기록했다.

지난 22일 의성에서 시작된 불이 강풍을 타고 안동, 영양, 청송, 영덕으로 삽시간에 번지면서 4만5천157㏊의 산림이 거대한 숯으로 변했고 수많은 마을이 화마에 휩싸여 수천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국보급 등 중요 문화재 피해도 심각한 수준이다.

산불은 진화됐지만 삶의 터전이 폐허가 돼 힘겨워하는 이재민들을 위한 대책 마련과 시행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수천 명에 이르는 이재민들은 집을 잃은 아픔과 화마가 닥친 순간의 공포를 가슴에 품은 채 체육관, 마을회관, 경로당 등 모든 것이 부족한 열악한 환경에서 힘겨운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산불로 인한 이재민 수는 수천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경북도는 대피 인원 가운데 야간에도 대피소에서 지내는 주민들이 대부분 집을 잃었을 것으로 본다.

이날 오전 7시 기준 대피 인원은 3만6천674명이며 이 가운데 3만389명은 집으로 돌아갔다.

귀가하지 못하고 대피소에서 밤을 보낸 인원은 6천285명이다.

지역별로는 안동 2천748명, 의성 697명, 청송 953명, 영양 932명, 영덕 955명이다.

주택은 2천219채가 불에 탄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안동 750채, 의성 303채, 청송 594채, 영양 104채, 영덕 470채다.

산불이 완전히 진화되고 피해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면 소실 주택 등 건축물 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는 이재민들이 우선 대피소를 떠나 지낼 수 있는 긴급 임시주거시설로 '조립식 주택'을 신속히 제공하기로 했다.

우선 정부·기업 연수시설 및 호텔·리조트, 에어돔 형태의 바로 입주할 수 있는 시설로 이재민들을 옮기고 임시거주용 조립식 주택을 신속히 제공, 당장 불편을 최소화한다.

하지만 거주용 조립식 주택은 통상 입주하는 데 한 달 이상이 걸려 이재민들은 앞으로도 상당한 기간 동안 단체 시설을 이용해야 하는 처지다.

도는 장기적으로는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 피해지에 신규 마을을 만들고, 이재민들을 위한 주택 등을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괴물 산불' 일주일째 (의성=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이 일주일간 지속된 산불로 폐허가 돼 있다. 2025.3.28 psik@yna.co.kr

산림 피해도 워낙 방대해 복구가 난제다.

산림 복구를 위해서는 피해액 조사를 거쳐 복구 비용을 결정해 복구계획을 수립한다.

가장 급한 문제는 여름철 장마나 호우가 걱정이다.

산불로 토양이 느슨해져 산사태나 토사유출 위험이 높고 고사목이 쓰러지거나 유실돼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산림당국은 불에 탄 나무를 베어내는 긴급 벌채와 사방시설 사업 등 응급복구를 추진한다.

이어 장기적으로 지역적 특성과 주민 의견 등을 고려해 산림 복구에 나선다.

경북도 관계자는 "나무를 심어 어느 정도 커 숲을 이루는 데 수십년이 걸린다"며 "산불 이전의 생태계를 되찾는 데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림을 복구할 때 나무 종류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불이 잘 붙어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 대신 다른 나무를 심는 수종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흔적만 남은 마을 (안동=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27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추목리의 한 마을 가옥과 창고 등이 산불로 전소돼 흔적만 남아 있다. 2025.3.27 superdoo82@yna.co.kr

국보급 등 중요 유산 피해도 커 원형 복원과 수리, 복구에는 상당한 시간과 어려움이 따를 전망이다.

경북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으로 산불과 관련한 도내 국가 유산 피해가 31건으로 잠정 집계됐다.

유산별로는 국가 지정이 10건으로 보물 3건, 명승 2건, 천연기념물 1건, 국가 민속 4건이다.

경북도 지정은 21건으로 유형유산 3건, 기념물 2건, 민속 8건 문화유산자료 8건이다.

안동(19건), 의성(5건), 청송(7건) 지역에 피해가 집중됐다.

의성 '천년고찰' 고운사는 전체 건물 30동 중 9동만 양호하고 보물인 연수전, 가운루 등 나머지는 모두 불탔다.

경북도 문화유산자료인 용담사 무량전의 부속 건물 1채가 전소됐고, 용담사에 소속된 암자인 금정암 화엄강당도 화마를 피하지 못했다.

천연기념물 안동 구리 측백나무 숲이 일부 소실됐고 일부 불상도 불에 탔다.

산불이 광범위하게 삽시간에 덮쳤고 유산 대부분이 산림지역에 있는 목조건물 형태여서 큰 피해가 났다.

경북도와 시군은 산불 진화가 끝나면 현장을 보존한 상태로 유산 관련 정부 부처와 합동으로 정밀 조사를 통해 정확한 피해 상황을 파악할 계획이다.

또 붕괴 등 추가 훼손을 막기 위해 안전 점검 등 조치를 병행한다,

기존 부재 재사용 여부와 건물 위치 및 구조 등 원형에 대한 기존 기록을 확인해 복구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유산으로 지정될 때 해당 문화재의 모든 정보를 등록하고 있어 이를 토대로 복구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며 "문화재는 일반 건축물 등과 달리 피해 정밀 조사와 원형 복원을 위한 철저한 고증 및 설계에 긴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화마가 휩쓸고 간 고운사 (의성=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26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 가운루를 비롯한 건물들이 전날 번진 산불에 모두 불에 타 흔적만 남아 있다. 이번 화재로 국가 지정 문화유산 보물로 지정된 가운루와 연수전 등이 소실됐다. 2025.3.26 superdoo82@yna.co.kr

haru@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