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대표, 의대생 복귀에 “팔 한 짝 내놓을 각오 없어…저쪽이 원하는건 굴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 등이 학내 구성원 협의를 거쳐 미등록 휴학에서 등록 후 투쟁으로 방향을 선회한 가운데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이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라며 불편한 심기를 표현했다.
한편 서울대 의대 학생들은 등록 마감일인 지난 27일 내부 투표 결과를 토대로 일제히 1학기 등록을 하기로 방침을 정했고, 연세대 의대생들도 '등록 거부'에서 '등록 후 휴학'으로 방침을 선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 등이 학내 구성원 협의를 거쳐 미등록 휴학에서 등록 후 투쟁으로 방향을 선회한 가운데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이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라며 불편한 심기를 표현했다.
박 위원장은 2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양자택일 : 미등록 휴학, 혹은 복학’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을 올렸다. 그는 “처단. 상대의 칼끝은 내 목을 겨누고 있는데,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 등록 후 수업 거부를 하면 제적에서 자유로운 건 맞나”며 “저쪽이 원하는 건 결국 굴종 아닌가”라고 적었다. 이어 “죽거나 살거나, 선택지는 둘뿐”이라며 “학교가 나서서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는데 왜”라고 덧붙였다.
또 고려대 의대에서 복귀를 원하는 의대생을 대상으로 면담이 이어지고 있다는 기사를 공유하며 전국 의대의 행태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연세대는 등록 후 수업에 성실히 참여한다는 각서를 받고, 고려대는 복학 원서 작성 후 철회 시 자퇴로 처리한다고 한다”며 “정부와 대학은 일 년 내내 고압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자유 선택을 존중한다던 교수는 위계를 이용해 찍어누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서울대 의대 학생들은 등록 마감일인 지난 27일 내부 투표 결과를 토대로 일제히 1학기 등록을 하기로 방침을 정했고, 연세대 의대생들도 ‘등록 거부’에서 ‘등록 후 휴학’으로 방침을 선회했다. 고려대 의대생들도 전체의 80% 이상이 등록 의사를 밝히는 등 이들 주요 대학에선 대다수의 의대생이 1학기에 돌아올 전망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