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하락 트리거는 6월 FOMC 금리인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원·달러 환율이 2분기까지 강세를 유지한 후 약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는 "미 달러는 하반기에 점진적으로 약세 전환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미 달러의 하락 전환을 유도하는 트리거는 미국 고용둔화와 6월 FOMC 금리 인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2분기까지 강세를 유지한 후 약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의 고용둔화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하가 트리거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28일 '돌아온 무역분쟁의 압박'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원·달러 환율은 2분기까지 미 달러 강세 기조에 연동해 오름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불확실성 확대 시 환율 상단은 1500원 내외로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4월 예고된 무역분쟁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외환시장은 안전통화인 미 달러 대한 선호도를 높일 것"이라며 "미국과 여타 국가들의 펀더멘털 격차가 벌어지는 점도 미 달러 강세를 유도할 듯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강달러가 미국의 무역적자를 가속화시키고 제조업 경쟁력을 낮췄다며 약달러를 선호하고 있다"면서도 "트럼프가 무역 협상을 통해 유도하고 있는 해외 기업들의 현지 투자 확대는 미 달러의 수요를 높이고 미국으로의 자본 유입을 확대시키는 요소"라고 분석했다.
다만 하반기에는 원·달러 환율이 약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하나증권은 2분기 원·달러 환율이 평균 1460원을 기록한 후 3분기 1430원, 4분기 1400원으로 점차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미 달러는 하반기에 점진적으로 약세 전환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미 달러의 하락 전환을 유도하는 트리거는 미국 고용둔화와 6월 FOMC 금리 인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간 미국에 쏠렸던 글로벌 자금의 재분배 여부, 미국 재정적자 확대와 미국채 발행물량 부담도 미 달러의 중장기적 흐름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월 1만원 내고 회사 화장실서 살아요"…18세 여성 사연 - 아시아경제
- "침대 밑에 괴물이 있어요"…아이 말에 확인해봤다가 '깜짝' - 아시아경제
- "한국산이 더 좋네" 2조 5000억원 팔렸다…프랑스 제치고 1위한 K뷰티 - 아시아경제
- "먼저 써낸 사람이 임자래요"…접수 첫날 4000건 몰린 '신규 도메인' - 아시아경제
- 일본 여행 필수코스인데 '경악'…전 매장 나흘간 폐쇄 '위생 점검' - 아시아경제
- 창원NC파크 관중 사망 사고…KBO "내일 경기 모두 취소" - 아시아경제
- 건강했던 20대 돌연 사망…원인은 자주 마셨던 '이 음료' 때문이었다 - 아시아경제
- 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이준석 "폰지사기와 다를 바 없어" - 아시아경제
- "매일 새벽에 나와" "짬 버리고 있더라"…산불 현장서 닷새째 출근하는 원희룡 - 아시아경제
- 살짝 부딪혀놓고 "입원했어요" 이제 못할 수도…보험업계서 준비 중인 연구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