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가격 올려도 다 팔린다더니…샤넬백 '초비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발란 등 명품 플랫폼의 위기는 최근 명품 수요 감소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
명품의 주요 유통채널인 백화점 명품관에서 주요 명품 브랜드의 매출이 올 들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엔 '에루샤'(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와 디올 등 4대 명품 브랜드의 한국 매출이 처음 5조원을 넘겼을 정도다.
올해 초 명품 브랜드들이 줄줄이 가격을 인상한 것도 수요 급감의 한 원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백화점 명품 매출도 꺾였다
한경에이셀, 카드 결제액 추정
구찌·루이비통 등 27개 브랜드
지난달 결제액 큰폭으로 감소
발란 등 명품 플랫폼의 위기는 최근 명품 수요 감소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 명품의 주요 유통채널인 백화점 명품관에서 주요 명품 브랜드의 매출이 올 들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케링그룹의 지난 2월 카드 결제액은 전년 대비 10.3% 감소한 381억원으로 쪼그라든 것으로 추정됐다. 구찌, 발렌시아가, 보테가베네타, 부쉐론, 브리오니, 생로랑, 알렉산더맥퀸 등 7개 명품 브랜드 매출이 더해진 결과다. 월 매출로 통계가 집계된 2018년 이후 최저치다.
루이비통, 지방시 등 17개 명품 브랜드를 포함한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2월 카드 결제액도 전년 대비 4.2% 감소한 1460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달 디올(-24.8%) 버버리(-22.4%) 샤넬(-8.4%) 또한 큰 폭으로 카드 결제 추정액이 감소했다.
명품 브랜드들은 수년간 공격적으로 가격을 올렸다. 원자재·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들었지만 그 이면에는 가격 인상에도 수요가 줄지 않는다는 자신감이 깔려 있었다. 2023년엔 ‘에루샤’(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와 디올 등 4대 명품 브랜드의 한국 매출이 처음 5조원을 넘겼을 정도다. 하지만 경기가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젊은 세대의 패션 소비가 디자이너 스몰 브랜드 중심으로 바뀌면서 명품의 인기가 꺾이고 있다. 올해 초 명품 브랜드들이 줄줄이 가격을 인상한 것도 수요 급감의 한 원인이다.
명품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는 가운데 초고가로 꼽히는 에르메스는 오히려 매출이 증가했다. 에르메스의 2월 카드 결제 추정액은 607억원으로 전년 대비 19.8% 증가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슨 일 나겠다 했는데"…할인 쿠폰 뿌리던 발란, 결국 터졌다
- 한국에선 가격 올려도 다 팔린다더니…샤넬백 '초비상'
- "가성비 최고에요"…3040들에 '인기 폭발'한 의외의 식당
- 설마설마 했는데…스마트폰에 빠진 청소년 충격 결과 나왔다
- "내일 14도인데 무슨 옷 입을까" 물었더니…예상 밖 답변 '깜짝'
- "너무 비싸고 먹을 아이도 없어요"…서울우유, 결국 '중대 결단'
- 양세형, 홍대 109억 건물도 '공실'?…직접 가보니 [집코노미-핫!부동산]
- 다이소 점주의 분노…"1000원짜리 판다고 직원 무시하나"
- "남는 것 없이 싸게 팔아요"…'눈물의 세일' 홈플러스 매출 보니
- "제2의 월급이 따박따박"…은퇴한 부모님 비결 알고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