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가격 올려도 다 팔린다더니…샤넬백 '초비상'

고윤상 2025. 3. 27. 17: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발란 등 명품 플랫폼의 위기는 최근 명품 수요 감소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

명품의 주요 유통채널인 백화점 명품관에서 주요 명품 브랜드의 매출이 올 들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엔 '에루샤'(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와 디올 등 4대 명품 브랜드의 한국 매출이 처음 5조원을 넘겼을 정도다.

올해 초 명품 브랜드들이 줄줄이 가격을 인상한 것도 수요 급감의 한 원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들해진 '샤넬 사랑'
백화점 명품 매출도 꺾였다
한경에이셀, 카드 결제액 추정
구찌·루이비통 등 27개 브랜드
지난달 결제액 큰폭으로 감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발란 등 명품 플랫폼의 위기는 최근 명품 수요 감소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 명품의 주요 유통채널인 백화점 명품관에서 주요 명품 브랜드의 매출이 올 들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케링그룹의 지난 2월 카드 결제액은 전년 대비 10.3% 감소한 381억원으로 쪼그라든 것으로 추정됐다. 구찌, 발렌시아가, 보테가베네타, 부쉐론, 브리오니, 생로랑, 알렉산더맥퀸 등 7개 명품 브랜드 매출이 더해진 결과다. 월 매출로 통계가 집계된 2018년 이후 최저치다.

루이비통, 지방시 등 17개 명품 브랜드를 포함한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2월 카드 결제액도 전년 대비 4.2% 감소한 1460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달 디올(-24.8%) 버버리(-22.4%) 샤넬(-8.4%) 또한 큰 폭으로 카드 결제 추정액이 감소했다.

명품 브랜드들은 수년간 공격적으로 가격을 올렸다. 원자재·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들었지만 그 이면에는 가격 인상에도 수요가 줄지 않는다는 자신감이 깔려 있었다. 2023년엔 ‘에루샤’(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와 디올 등 4대 명품 브랜드의 한국 매출이 처음 5조원을 넘겼을 정도다. 하지만 경기가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젊은 세대의 패션 소비가 디자이너 스몰 브랜드 중심으로 바뀌면서 명품의 인기가 꺾이고 있다. 올해 초 명품 브랜드들이 줄줄이 가격을 인상한 것도 수요 급감의 한 원인이다.

명품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는 가운데 초고가로 꼽히는 에르메스는 오히려 매출이 증가했다. 에르메스의 2월 카드 결제 추정액은 607억원으로 전년 대비 19.8% 증가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