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4월 2일부터 수입車에 25% 관세”…상호관세 부과도 재확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와 핵심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공식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 워싱턴DC 백악관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가 할 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며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자동차 관세 부과 시기에 대해선 "4월 2일부터 발효된다. 4월 3일부터 관세를 걷기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와 핵심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공식화했다. 발효 시점은 4월 2일(현지시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그치지 않고 '상호관세'를 포함해 의약품과 목재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 워싱턴DC 백악관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가 할 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며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특히 “외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로 연간 1000억달러(약 147조원)의 세수 증가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자동차 관세 부과 시기에 대해선 “4월 2일부터 발효된다. 4월 3일부터 관세를 걷기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대상은 모든 외국산 자동차와 핵심 부품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과 유럽, 멕시코, 캐나다에서 생산된 자동차와 핵심 부품이 주요 타깃이 될 전망이다.
특히 대미 수출 1위 품목이 자동차인 우리나라는 더 큰 충격이 예상된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4400만달러(약 51조원)다.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 수출량은 97만대, 한국GM 수출량은 41만대가량으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미국 내 생산을 늘려 관세 폭탄 충격을 완화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여전히 국내를 비롯해 미국 외에서 생산해 수출하는 물량이 많아 피해가 불가피하다.
우리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긴급 민관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미국에 대한 관세율과 비관세장벽 등을 두루 고려해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겠다는 계획도 재확인했다. 의약품과 목재에 대한 관세 부과도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현대차그룹, 美 최첨단 제조 HMGMA 준공
- 20년 된 정부 데이터센터 개편... '신규 구축' vs '민간 이전'
- 트럼프 “4월 2일, 자동차 25% 관세 부과”...의약품·목재 관세 부과 방침도 재확인
- “껌 한 개를 오래 씹어라”...한 번 씹을 때 미세 플라스틱 수 천개 나와
- 틱톡 대박에 덩달아 몸값 올라… 창업자 장이밍, '84조' 中 최고 부자 등극
- 르노코리아 'SM6' 역사 속으로…'오로라2' 내년 상반기 출시
- 美 공항서 알몸으로 난동부리는 정체불명의 여성
- “품위 있는 선거 포스터만 붙이세요”… 日 '저질' 선거 포스터 사라진다
- 발란 미정산 사태에 머스트잇 선정산 시작…명품 플랫폼 재편되나
- 딥노이드, 생성형AI로 판독 '근거'까지 제시…세계 첫 상용화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