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 통신시설 복구율 89%…인터넷·유료방송은 98% 넘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유·무선 통신시설이 대부분 복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30일 오전 11시 기준 무선통신은 89.2%, 인터넷 등 유선통신은 98.5% 복구됐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난 28일 현장을 방문해 안동 지역 통신망 복구와 대피소 통신 지원, 현장지원반 운영 등을 점검했다.
청송, 영덕 등 산불 추가 확산 지역의 통신 복구를 위해 가용 자원을 집중 투입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유·무선 통신시설이 대부분 복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30일 오전 11시 기준 무선통신은 89.2%, 인터넷 등 유선통신은 98.5% 복구됐다. 유로방송 장애도 98.8% 복구에 성공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난 28일 현장을 방문해 안동 지역 통신망 복구와 대피소 통신 지원, 현장지원반 운영 등을 점검했다.
청송, 영덕 등 산불 추가 확산 지역의 통신 복구를 위해 가용 자원을 집중 투입한다. 이동기지국 14대, 간이기지국 1개소, 발전차 38대, 휴대용 발전기 211대, 현장 복구인력 809명을 현장에 배치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7일부터 방송통신재난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로 상향하고 방송통신 분야 피해 복구 현장의 밀착 지원을 위한 현장지원반을 운영 중이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한전없이 전기 사는 '전력직접구매' 허용...대형 전기 소비처 '직구' 시작
- 이재명 “서해, 中 불법 구조물 설치로 수난…국가유공자 합당한 대우 받게 앞장”
- SK하이닉스, 인텔 낸드 사업 인수 완료…IP까지 최종 확보
- 티제이티플러스 “엔클리어로 IDC·병원 등 주요기관 전기 화재 초동 대처”
- 무릎 수술받고 '영어'만 줄줄… 모국어 잊어버린 네덜란드 소년
- 2030년까지 플라스틱 쓰레기...고래 1800만마리 뱃속 가득 채울 판
-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은 여전…영풍 법적 대응·의결권 행사 변수 떠올라
- [뉴스줌인]스크린 가전 전방위 확대한 삼성…AI홈 시대 '성큼'
- 삼성전자, '스크린·보안·보이스ID' 적용 확대… 'AI 가전' 모델 3배 늘려
- 게임 '질병코드' 등재... 과학도 현실도 사회적 합의도 부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