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투자받아 집 산다…'지분형 주택금융' 도입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주택 공급 부족에 분양가도 상승하면서 '내 집 하나' 마련하기 참 어려운데요.
이에 정부가 '지분형 주택금융'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정대한 기자, 지분형 주택금융 제도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기자]
개인이 집을 살 때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지분투자를 받아 소유권을 나눠 갖고, 추후에 집을 팔 때 차익이 발생하면 지분대로 나누는 방식입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어제(26일)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지분투자' 방식의 주택금융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보통 집을 살 땐 은행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로 소위 '영끌'을 해서 대출상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데요.
지분을 나눠서 집값을 낮춰주면 '내 집 마련'이 쉬워지고, 대출 부담도 자연스럽게 줄어든다는 판단입니다.
금융위는 조만간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고, 시범 사업도 진행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그런데 이 제도가 이번에 처음 나온 개념은 아니라고요?
[기자]
이번 제도는 지난 2013년 박근혜 정부 때 실시된 '공유형 모기지'와 유사한 개념인데요.
집값의 70% 이내로 낮은 금리에 구입자금을 대출해 주는 대신 집을 팔 때 마찬가지로 차익의 일부를 정부가 나눠갖는 방식이었는데, 이에 대한 거부감이 커 당시 시장의 외면을 받았습니다.
이후에도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등이 수익공유형 모기지, 지분적립형 주택 등 비슷한 형태의 제도를 검토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는데요.
김 위원장은 "과거 이런 콘셉트로 시도들이 있었는데 시장의 수요가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며 "어떻게 하면 수요를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는 단계"라고 설명했습니다.
SBS Biz 정대한입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기차 인줄 알았더니 하이브리드…토레스 반전
- "집, 차, 주식 다 팔아도 빚 못 갚아"…고위험 39만가구
- '같은 30대, 누군 집주인, 누군 월세살이'…"주거 양극화 심화"
- 티셔츠·청바지도 파는 편의점…이번엔 토트넘 유니폼
- 美 유명 레퍼도 반한 '홍삼'…"완전 깨어있는 느낌"
- 트럼프 "4월 2일부터 모든 수입차에 25% 영구적 관세"
- 1500만원 첼로·2.2억 슈퍼카…국회의원 각양각색 이색자산
- 日 언론, 현대차 美 투자에 "車산업 공동화 우려"
- 한국소호은행·소소·포도·AMZ 뱅크 등 4곳 인뱅 예비인가 신청
- 최상목 부총리 재산 45억 신고…1년 전보다 2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