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갚기 힘든 잠재 고위험가구 357만…"지방 집값 하락 시 취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지방 주택 가격이 시장 전망대로 하락할 경우 부채 상환 능력이 부족한 지방 취약가구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소득 또는 자산 중 하나라도 상환 능력이 부족한 가구는 356만6천가구,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584조3천억원으로 전체 금융부채의 39.7%에 해당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지방 주택 가격이 시장 전망대로 하락할 경우 부채 상환 능력이 부족한 지방 취약가구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7일) 발표한 ‘2025년 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월 기준 금융부채 고위험 가구는 38만6천가구로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3.2%를 차지했고, 이들이 보유한 부채는 72조3천억원으로 전체의 4.9%에 달했습니다.
고위험 가구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초과하고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이 100%를 넘는 가구로, 소득과 자산 양측에서 상환 능력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소득 또는 자산 중 하나라도 상환 능력이 부족한 가구는 356만6천가구,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584조3천억원으로 전체 금융부채의 39.7%에 해당합니다.
특히 지방의 경우, 집값이 하락하면 자산가치가 줄면서 고위험 가구 비중이 더 높아질 것으로 우려됐습니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올해 말 기준 지방 고위험 가구 비중은 5.6%, 수도권은 4.0%로 예상돼 두 지역 간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지방 집값이 1.7%하락하고, 수도권은 0.9%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 데 따른 결과입니다.
한은은 “지방 건설경기 부진과 미분양 증가 등으로 고위험 가구가 더 늘어날 수 있다”며 “부실 확대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관련 동향과 정부 대응의 효과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은행 #고위험가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형섭(yhs931@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 대행, 헌재 결정 수용 대국민 호소…"정치인 자극발언 삼가야"
- 종일 집회에 오체투지까지…가열되는 여론전
- '검사 사칭' 보이스피싱 현금수거책 검거…피해금 5억 원 회수
- 김수현 측 "고 설리, '리얼' 베드신 장면 숙지"
- 고 장제원 전 의원 조문…정진석 "대통령 가슴 아프다"
- 트럼프가 미국인의 생각 바꿨다…"EU·캐나다는 비우호국" 비율 급증
- '강남역 의대생 교제살인 사건' 피해자 어머니, 항소심서 엄벌 촉구
- 서울 강동구서 깊이 50cm 땅꺼짐 발생…인명피해 없어
- "한 명 죽이고 싶다" 생방송 유튜버 체포…공중협박죄 적용
- 챗GPT 가입자 5억명 돌파…이미지 생성 모델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