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단했던 이태석‧번뜩였던 양민혁…결과 아쉬웠으나 소득도 있었다

김도용 기자 2025. 3. 26. 1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홍명보호가 2025년 첫 소집 일정을 마무리했다.

하지만 왼쪽 풀백 이태석(포항)의 성장과 양민혁(QPR)의 A매치 데뷔라는 작은 수확도 있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은 지난 25일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요르단과의 경기에서 1-1로 비겼다.

홍명보 감독 역시 요르단전 후 "이태석이 알타마리를 잘 막았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왼쪽 풀백 이태석, 2연전 선발…양민혁 A매치 데뷔
손흥민 원톱·이강인 중앙MF 실험도 나름 성공적
축구대표팀 측면 수비수 이태석. (대한축구협회 제공)

(서울=뉴스1) 김도용 기자 = 홍명보호가 2025년 첫 소집 일정을 마무리했다. 한국은 2경기에서 모두 1-1로 비기며 아쉬운 결과를 냈다.

하지만 왼쪽 풀백 이태석(포항)의 성장과 양민혁(QPR)의 A매치 데뷔라는 작은 수확도 있었다. 더불어 홍명보호에서 처음 가동된 '최전방 공격수' 손흥민(토트넘), '중앙 미드필더' 이강인(파리 생제르맹) 카드가 경쟁력을 보여준 것도 고무적이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은 지난 25일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요르단과의 경기에서 1-1로 비겼다. 20일 오만전의 같은 스코어를 포함해 3월 A매치 2연전이 2무승부로 끝났다.

당초 3월 2연전에서 모두 승리, 조기에 본선행을 확정하려 했던 계획은 무산됐다.

내용적인 면에서도 아쉬웠다. 오만과 요르단이 나온 스리백을 깨지 못하며 공격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수비도 순간적인 집중력 결여로 동점골을 허용,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나름 성과도 있었다. 가장 먼저 이태석이 대표팀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점이 주목할 부분이다.

지난해 7월 홍명보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뒤 왼쪽 측면 수비수는 이명재(버밍엄)의 자리였다. 하지만 이명재가 소속팀 적응 문제로 이번 소집에서 제외됐는데 대신 발탁된 이태석이 제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특히 요르단전에서 날카로운 공격수 무사 알티마리(스타드 렌)를 상대로 주눅 들지 않는 플레이를 펼쳐 팀에 안정감을 더했다. 축구 통계 업체 풋몹에 따르면 이태석은 요르단전에서 공경합 성공률 100%를 비롯해 태클 5회 성공 등을 기록했다.

그동안 이태석은 공격력이 장점으로 꼽혔는데 수비에서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면 김진수(서울) 이후 오랜만에 새로운 왼쪽 풀백을 확보하게 된다. 홍명보 감독 역시 요르단전 후 "이태석이 알타마리를 잘 막았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요르단전 후반 시작과 함께 투입돼 45분을 소화하며 A매치를 처음 치른 양민혁의 저돌적인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양민혁은 오른쪽 측면에서 자신감 있는 돌파와 동료들과 연계 플레이로 공격에 힘을 보탰다. 수비 상황에서도 적극적으로 몸싸움을 펼쳤다.

축구대표팀 공격수 손흥민./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새롭게 사용된 전술도 나름 성공을 거둬 새 카드로 쓸 여지를 남겼다. 홍명보 감독은 부임 후 처음으로 손흥민을 최전방에 배치했고, 이강인도 중앙 미드필더로 사용했다. 지금까지 홍명보 감독 체제에서 둘은 주로 측면 공격수 역할을 맡았다.

사실 최전방 공격수 손흥민, 중앙 미드필더 이강인은 낯설지 않다. 이전 대표팀 또는 소속팀에서 이런 역할을 수행한 경험이 있다. 익숙한 역할이기에 둘은 대표팀에서도 어렵지 않게 소화했다.

손흥민과 이강인이 기존 윙어 역할에만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게 된다면 한국의 전술 운용 폭은 넓어질 수 있다.

월드컵 본선에 대비해 다양한 얼굴과 전술이 필요한 시점인데 3월 2연전을 통해 홍 감독은 여러 힌트를 얻었다. 2경기 무승부는 아쉬워도 나름 소득이 있었다.

dyk0609@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