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4월 1일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시는 다음 달 1일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전면 시행한다.
버스 안에 현금 보관함을 철거하기 때문에 교통카드만 사용할 수 있다.
시에 따르면 교통카드 이용 확대로 시내버스 현금 탑승객이 꾸준히 줄고 있다.
특별한 민원 역시 시범 운행 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았고, 다음 달 1일부터는 대구 전체 127개 노선, 1566대를 현금 없는 시내버스로 운영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시는 다음 달 1일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전면 시행한다. 버스 안에 현금 보관함을 철거하기 때문에 교통카드만 사용할 수 있다.
시에 따르면 교통카드 이용 확대로 시내버스 현금 탑승객이 꾸준히 줄고 있다. 하지만 인건비 등 현금 관리 비용은 연간 8억2000만 원이 쓰인다. 또 운행 중 현금 확인과 거스름돈 반환에 따른 운행 시간 지연 및 안전사고 우려 등의 문제도 적지 않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시는 지난해 7월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시범 운행했다. 1차 5개 노선 98대, 2차 40개 노선 583대, 3차 77개 노선 1034대 등 3차에 걸쳐 단계적으로 시범 운영한 결과 대구 전체 시내버스 이용객의 현금 승차 비율이 2023년 2.2%에서 올해 지난달 말 기준 0.5%로 감소했다. 특별한 민원 역시 시범 운행 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았고, 다음 달 1일부터는 대구 전체 127개 노선, 1566대를 현금 없는 시내버스로 운영한다. 시 관계자는 “현금 관리 비용을 줄이고, 운행 시간 단축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시민들은 교통카드 사용으로 요금 할인과 무료 환승, K-패스카드 할인 등의 혜택을 볼 수 있다. 교통카드가 없으면 정류장에 부착된 스마트용 바코드(QR)코드로 모바일 교통카드를 발급받거나 버스 요금납부안내서에 따라 계좌이체 하면 된다. 허준석 대구시 교통국장은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 이후에도 운영 현황과 불편 사항에 대해 계속 모니터링해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영훈 기자 jang@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괴물 산불’에 18명 사망·19명 중경상…2만7000명 대피
- “뒤에 바람” “온다 온다”…소방관 보디캠에 찍힌 ‘산불 사투’ 현장
- 목줄만 풀어줬어도…산불 속 남겨진 반려견들
- 韓대행 “산에서 불법 소각시 엄정 대응”…역대급 산불피해에 대국민담화 발표
- 이재명 오늘 2심…“골프사진 조작” “국토부가 협박” 쟁점
- [이진영 칼럼]탄핵 9전 9패, 尹 탄핵은 성공할까
- 국민의힘 강명구 “尹 돌아오더라도 기나긴 싸움 시작”[황형준의 법정모독]
- 민주 “지연된 정의는 불의…헌재, 오늘 尹선고일 지정하라”
- 싱크홀 공포 “내 출퇴근길은 괜찮나”
- 117세 할머니 장수 비결, 몸 속에 ‘이 유전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