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회 제주4·3평화문학상에 김휼·김미수·허호준 당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13회 제주4·3평화문학상 당선작으로 김휼의 '흰 문장'(시 부문), 김미수의 '전쟁터로 간 사랑'(장편소설 부문), 허호준의 '폭풍 속으로'(논픽션 부문)가 선정됐다.
26일 제주4·3평화재단에 따르면 시 부문 당선작 '흰 문장'은 4·3과 백비(아무것도 새겨지지 않은 채 4·3평화기념관에 누워있는 흰 비석)를 주제로 다룬 작품으로, 감각적 해석력과 은유의 조화로운 매칭 등이 돋보인다는 평을 받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제13회 제주4·3평화문학상 당선작으로 김휼의 '흰 문장'(시 부문), 김미수의 '전쟁터로 간 사랑'(장편소설 부문), 허호준의 '폭풍 속으로'(논픽션 부문)가 선정됐다.
26일 제주4·3평화재단에 따르면 시 부문 당선작 '흰 문장'은 4·3과 백비(아무것도 새겨지지 않은 채 4·3평화기념관에 누워있는 흰 비석)를 주제로 다룬 작품으로, 감각적 해석력과 은유의 조화로운 매칭 등이 돋보인다는 평을 받았다.
심사위원회는 "천근만근 같은 주제의 무거움을 '잘 빚은 항아리(엘리어트)'로 승화시켜내는 일은 고도의 정신력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이 작품은 4·3의 진실과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평화와 인권을 수렴하는 상의 의의에 충분히 값해 당선작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장편소설 부문 당선작 '전쟁터로 간 사랑'은 일제강점기 말기 남양군도를 무대로 위안부 문제와 강제징병, 강제징용 등 역사적 사실을 새로운 스토리와 시선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심사위원회는 "이 작품의 가장 큰 장점은 가독성과 작품 속으로 빨려드는 흡입력"이라며 "'누군가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한 사람의 온몸과 마음을 그토록 지배할 수 있다는 것을 드미는 할머니를 보고 처음 알았다'라는 내용이 있는데, 이런 사랑의 마음 또한 독자들에게 그대로 전달된다"고 평했다.
논픽션 부문 당선작 '폭풍 속으로'는 구좌면(현 구좌읍) 지역을 무대로 그려지는 4·3 르포로, 화자인 기자가 다랑쉬굴 사건의 비밀을 간직한 인물과 그 주변 인물, 그리고 사건을 추적하며 기억과 기록을 날줄과 씨줄로 엮은 서사다. 1989년부터 언론인으로서 30여년간 도내는 물론 도외, 미국·일본 등지를 드나들며 4·3의 진실과 의미를 밝히고 자료를 축적해온 사실도 곁들여 있다.
심사위원회는 "특히 초기 4·3 주체들의 문제의식과 초토화 작전 이후 국가폭력 문제를 연결하려는 노력이 인상적"이라며 "일본 밀항과 현재와 과거와의 이동에 따른 시공의 측위가 방대함에도 생동감과 박진감 있는 구성이 지닌 탄탄함으로 독자들을 사로잡을 것"이라고 평했다.
시상식은 다음 달 24일 오후 2시 제주문학관 대강당에서 열린다.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시상금(시·논픽션 각 2천만원, 장편소설 5천만원)이 수여된다.
4·3평화문학상은 4·3의 역사적 진실을 밝히고 평화와 인권의 소중함을 일깨우기 위해 2012년 3월 제정됐다. 이번 공모에는 시 1천390편(139명), 장편소설 101편(101명), 논픽션 7편(7명) 등 총 1천498편이 접수됐다.
atoz@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때아닌 눈인데 색깔도 낯설다?…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 연합뉴스
- [샷!] "불 번지는데 '17년지기' 혼자 둬 너무 불안" | 연합뉴스
- [르포] 최초 발화지 다시 가보니…버려진 라이터·그을린 흔적 | 연합뉴스
- "사랑해요" 사고 전날이 마지막…헬기 순직 조종사 아내 오열 | 연합뉴스
- "내 딸 때렸어?" 아동 세워놓고 추궁한 30대…학대죄 될까 | 연합뉴스
- '종교 전도 받아 집 드나든 건데…' 스토커 몰린 60대 무죄 | 연합뉴스
- 배터리 불붙을라…기내 휴대폰 분실에 비행기 돌린 佛항공사 | 연합뉴스
- 아시아나 필리핀발 인천행,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 15시간 지연 | 연합뉴스
- 김동연, 文소환 통보에 "기가 찰 노릇…검찰, 누구에 충성하나" | 연합뉴스
- "산불감시원 퇴근 시간 다 알아"…대형산불에도 불법 소각 여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