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스당 3000달러 넘긴 금값…상승세 지속"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 금 가격이 온스당 3000달러를 넘긴 가운데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탈세계화 및 블록화 기조하에서 각국 중앙은행 등의 수요가 이어지고 미국의 채권금리 하락 등 금 투자에 우호적인 여건이 조성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 금 가격이 온스당 3000달러를 넘긴 가운데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탈세계화 및 블록화 기조하에서 각국 중앙은행 등의 수요가 이어지고 미국의 채권금리 하락 등 금 투자에 우호적인 여건이 조성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심수빈 키움증권 연구원은 25일 보고서에서 "지난해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횟수 전망이 하향 조정되며 금 가격이 단기적으로 약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올해 초 상승 흐름이 재개됐다"며 "세계 금 협회(WGC)의 금 가격 변동 요인 분해 데이터를 살펴보면 연초 금 가격의 상승은 리스크와 불확실성에서 기인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최근 온스당 3000달러에서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최근 금융시장 내 불확실성을 자극했던 이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을 들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무역 분쟁 우려가 확대됐고 Fed 역시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금리 인하에 신중을 기할 것으로 발표하면서 향후 경기 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주요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도 금 가격을 끌어올린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그는 "중앙은행과 기타기관은 2010년 이전까지 금을 순매도하는 주체였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를 지나면서 순매수 주체로 바뀌었다"며 "2022년부터 금 매입량이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언급했다.
심 연구원은 금 가격이 2분기 조정세를 보이겠지만 상승세는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중앙은행과 기타 기관의 금 매입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휴전을 시작으로 종전까지 나아가더라도 관련 이슈가 서방 국가와 비서방 국가 간의 완전한 대립 해소를 의미하지 않는다면 탈세계화나 블록화 등의 트렌드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이 경우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기조에 변화는 부재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도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과거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을 돌아보면 미국과 관계가 소원했던 국가들을 중심으로 금 매수세가 진행됐다"며 "당시 중국과 미국이 무역 분쟁으로 충돌했던 가운데 (중국) 인민은행은 적극적으로 금을 매수한 곳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우선주의를 바탕으로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는 등 정책 불확실성을 자극하고 있는 만큼 과거와 동일한 모습이 반복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금 가격이 역사적 고점을 기록한 만큼 조정 가능성도 있다. 그는 "연초부터 이어진 금 강세를 기반으로 금의 명목 및 실질 가격이 1980년대 이후 처음으로 모두 역사적 고점을 기록한 점은 금에 대한 투자 매력도를 낮추는 요인일 수 있다"며 "미 Fed는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유지 중이고, 트럼프 관세는 협상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금융시장의 트럼프 무역 정책 민감도가 약화되고 있다는 점도 금 조정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이준석 "폰지사기와 다를 바 없어" - 아시아경제
- 건강했던 20대 돌연 사망…원인은 자주 마셨던 '이 음료' 때문이었다 - 아시아경제
- 팔팔 끓여도 안 죽네…봄철, 배달음식 잘못 먹으면 큰일 난다 - 아시아경제
- "매일 새벽에 나와" "짬 버리고 있더라"…산불 현장서 닷새째 출근하는 원희룡 - 아시아경제
- 자연산 새우 썼다던 백종원 덮죽…논란 일자 뒤늦게 수정 - 아시아경제
- 직원은 1억, 이사는 19억 찍었다…제약·바이오 '연봉킹'은 이곳 - 아시아경제
-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인터뷰] - 아시아경제
- "성시경 극찬한 평냉맛집이 들어온대"…에루샤 뺨치는 백화점 '명품식' 경쟁[럭셔리월드] - 아시
- "상여금 말고 선물로 드리면 안되나요?"…통상임금 소송 위험에 기업들 '혼란' - 아시아경제
- "꿈에 나올까 겁나요"…초·중·고 '개구리 해부' 금지한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