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옆에선 정의선 “현대차, 4년간 210억달러 美투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향후 2028년까지 4년간 총액 210억 달러(약 31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집행할 것이라고 24일(미국 현지 시간) 밝혔다.
자동차, 부품·물류, 철강, 미래 산업 등 주요 분야를 통틀어 이같은 투자 계획을 밝힌 것.
현대차에 따르면, 분야별 투자 규모는 △자동차 생산 분야 86억 달러 △부품·물류·철강 분야 61억 달러 △미래 산업 및 에너지에 63억 달러 등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차에 따르면, 분야별 투자 규모는 △자동차 생산 분야 86억 달러 △부품·물류·철강 분야 61억 달러 △미래 산업 및 에너지에 63억 달러 등이다.
우선 자동차 생산 부문에선 미국 내 ‘3호 공장’인 조지아주 소재 HMGMA의 생산 능력을 연간 연간 30만 대에서 50만 대로 늘린다. 미 현지 생산 120만대 체제 구축을 위해 총 86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것. 현대차그룹은 2004년 가동을 시작한 현대차 앨라배마공장(36만 대)을 시작으로 2010년 기아 조지아공장(34만 대), 올해 HMGMA(30만대)를 완공해 미국에서 현재 100만대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부품·물류·철강 분야에선 미 루이지애나 주에 270만 t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한다. 이 제철소는 저탄소 자동차 강판 제작에 특화된 곳이다. 현대차는 고품질의 자동차강판 공급 현지화를 통해 관세 등 불확실한 대외 리스크에 대응력을 높일 방침이다. 또 현대차는 HMGMA 생산능력 확대에 맞춰 설비를 증설해 부품 현지화율을 높이고, 배터리팩 등 전기차 핵심부품의 현지 조달도 추진한다.
미래 산업 및 에너지 분야에서는 자율주행, 로봇, 인공지능(AI),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미래 신기술과 관련한 미국 유수의 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 미국 현지 법인인 보스턴다이나믹스, 슈퍼널 등의 사업화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차는 과감한 투자와 핵심 기술 내재화, 국내외 핵심 기업들과의 전략적 협력 등을 통해 미래 기회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신진우 특파원 niceshi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트럼프 옆에선 정의선 “현대차, 4년간 210억달러 美투자”
- [이철희 칼럼]‘펜타곤 넘버3’가 한국을 추켜세우는 이유
- 한덕수 탄핵 기각, 87일만에 직무 복귀
- ‘5:2:1’로 韓탄핵 기각 “재판관 미임명 위헌, 파면 사유는 안돼”
- 의성 산불, 29km 떨어진 안동까지 번져
- 산소통도 없이… 펌프-갈퀴 들고 산불 진화 투입된 민간 대원들
- 4050 취업자수 급감… 흔들리는 ‘경제 허리’
- [오늘과 내일/이정은]포장에 그쳐선 안 될 민주당의 외교안보 ‘우클릭’
- [단독]집주인 대신 내준 전세보증금 900억 날린 HUG… 2000억 추가 우려
- 서울 강동구서 4개 차로 20m 싱크홀… 1명 매몰돼 수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