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0살 된 ‘두양리 은행나무’ 산불에 불타…국가유산 피해 잇따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적으로 대형 산불이 잇따르면서 900년 된 은행나무가 불타는 등 국가유산이 피해를 입었다.
국가유산청은 전국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로 인해 국가유산 2건과 국가유산 주변 1건 등 총 3건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23일 밝혔다.
국가유산청은 "산불 주변 국가유산 피해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고, 지자체 등 연락 체계 구축 및 피해 우려 대상에 대해선 긴급조치를 하겠다"며 "피해를 본 국가유산의 응급 복구 계획 수립 및 긴급보수비 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가유산청은 전국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로 인해 국가유산 2건과 국가유산 주변 1건 등 총 3건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23일 밝혔다.
국가유산 피해로는 경남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와 강원 정선 백운산 칠족령이 일부 소실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에 따르면, 두양리 은행나무는 고려 강민첨(963~1021) 장군이 심은 것으로 전해지며 높이 27m, 둘레 9.3m로 나이는 약 900년으로 추정된다.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사람들이 신성시해 온 이 나무는 1983년 12월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됐다.
백운산 칠족령은 이번 산불로 일부 구역(0.5ha)이 소실됐다. 이곳은 순조 대에 편찬된 『만기요람』에 동남쪽 통로로 기록된 대표적 고갯길이다. 동강의 빼어난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명승지이며, 2021년 12월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기념물로 지정됐다.
또한 강민첨 장군을 모신 사당인 하동 두방재 부속건물 2채도 전소하는 등 피해가 잇따른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유산청은 “산불 주변 국가유산 피해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고, 지자체 등 연락 체계 구축 및 피해 우려 대상에 대해선 긴급조치를 하겠다”며 “피해를 본 국가유산의 응급 복구 계획 수립 및 긴급보수비 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승현 기자 tmdgus@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헌재 ‘계엄-내란’ 위법성 판단 안해…尹 탄핵선고 ‘힌트’ 없었다
- ‘대장동 재판’ 불출석한 이재명에 과태료 300만원 부과
- [천광암 칼럼]‘나는 돼지’에 추월당한 한국… 삼성만 ‘사즉생’하면 될까
- 與 “탄핵소추 남용 방지법 발의…당이 비용 부담하게 할 것”
- 산불 진화율 의성 65% 산청 70%…강풍 계속돼 난관
- “北 해커조직 라자루스, 테슬라보다 더 많은 비트코인 보유”
- 野 “최상목은 썩은 감자, 가마니서 꺼내야” 탄핵 강행 뜻
- “비만男 암 위험 예측, BMI보다 허리둘레를 봐야”
- 민주, 당내 연금개혁 특위 구성…위원장에 4선 남인순
- 머스크 ‘뇌 임플란트’ 쾌거…전신마비 환자가 체스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