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반응도 시들한 '백설공주', 디즈니 비상 걸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 '백설공주'가 업계 관계자들이 예상한 수치보다 저조한 성적으로 첫삽을 떴다.
23일(현지시간) 북미 영화 흥행 통계사이트 박스오피스모조에 따르면 '백설공주'는 개봉 첫 주말 동안 북미 지역에서 총 4,300만 달러(한화 약 630억 원)를 벌어들였다.
'백설공주'의 제작비는 약 2억7,000만 달러(약 3,950억 원) 정도로 알려져 있다.
스크린랜트에 따르면 '백설공주'의 손익분기점은 최소 5억 달러(약 7270억 원)에 육박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 '백설공주'가 업계 관계자들이 예상한 수치보다 저조한 성적으로 첫삽을 떴다.
23일(현지시간) 북미 영화 흥행 통계사이트 박스오피스모조에 따르면 '백설공주'는 개봉 첫 주말 동안 북미 지역에서 총 4,300만 달러(한화 약 630억 원)를 벌어들였다. 이는 업계 관계자들이 예상한 4,500만(약 660억 원)~5,000만 달러(약 730억 원)보다 낮은 수치다.
북미를 제외한 국가에선 총 4,43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총 8,730만 달러(약 1,280억 원)로 첫 주를 시작하게 됐다. 이는 영화가 목표로 했던 1억 달러에도 못 미치는 성적이다.
'백설공주'의 제작비는 약 2억7,000만 달러(약 3,950억 원) 정도로 알려져 있다. 당초 '백설공주'의 제작비는 1억8,000만 달러 정도로 알려졌으나 여러 번의 재촬영, 추가적인 VFX 작업으로 크게 늘어나게 됐다. 스크린랜트에 따르면 '백설공주'의 손익분기점은 최소 5억 달러(약 7270억 원)에 육박한다.
'백설공주'의 북미 오프닝 성적은 2023년 개봉해 큰 비판을 받은 '인어공주'의 절반 수준이기도 하다. 약 3억5,000만 달러의 제작비가 투입된 '인어공주'는 개봉 당시 북미에서 9,557만 달러의 오프닝 성적을 달성했었는데, 약 7억 달러에 육박하는 손익분기점을 채우지 못한 채 디즈니에게 2억 달러의 손해를 입힌 바 있다.
iMBC연예 김종은 | 사진출처 월트디즈니컴퍼니
Copyright © MBC연예.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금지.
- '백설공주' 개봉 첫날 2위, 관객수는 2만명대
- 외신, '백설공주' 오프닝 5천만불 예상…'인어공주' 절반 수준
- 베일 벗은 '백설공주', 네이버평점은 벌써 3점대
- [애프터스크리닝] 군살 확 뺐네, '백설공주'가 뿌린 디즈니 90년 씨앗 결실 ★★★
- 라틴계 주연 '백설공주', 해외 시사회 호평 눈길
- "음색까지 디즈니"…'백설공주' 수지가 부른 '간절한 소원' 폭발적 반응
- 김수현 "김새론 안고 잠들고파"
- 에픽하이 투컷, 경비원 폭행 말리다 뉴스 탔다
- "끔찍했다" 서정희母, 서세원 언급 "외출 막기도"(조선의사랑꾼)
- "김민희, 64세 홍상수 아이 자연임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