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잠들지 않은 당신, ‘이 병’ 위험한 상태일지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밤에 활동적인 저녁형이 아침 일찍 일어나는 아침형인 사람보다 우울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 결과, 저녁형 인간이 아침형 인간에 비해 우울증을 겪을 위험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 우울증 예방을 위한 개인적 전략으로는 밤에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등 더 나은 수면의 질을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전문 강사나 오디오의 안내를 받는 가이드 명상을 통한 더 높은 수준의 마음 챙김과 음주량 줄이기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국 서리대 연구팀은 같은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546명을 대상으로 수면 패턴과 우울증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작성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수면 패턴, 음주, 마음 챙김, 우울증 및 불안 수준에 관한 정보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저녁형 인간이 아침형 인간에 비해 우울증을 겪을 위험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연관성은 주요 생활 습관 요인들의 영향을 받았다. 밤 올빼미형은 아침형 인간에 비해 수면의 질이 낮았고, 마음 챙김이 적으며, 술을 더 많이 마시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팀은 “젊은 성인이 정신건강 문제를 겪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그들의 우울증 위험을 줄이기 위해 어떻게 개입할 수 있을지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한편, 우울증 예방을 위한 개인적 전략으로는 밤에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등 더 나은 수면의 질을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전문 강사나 오디오의 안내를 받는 가이드 명상을 통한 더 높은 수준의 마음 챙김과 음주량 줄이기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폰 보느라 새벽에 잠드는 나… 몸은 ‘이렇게’ 변해가고 있다
- ‘키 안 큰다’는 말에도 꿈쩍 않는다… 새벽까지 스마트폰에 빠진 아이, 습관 바꾸는 법
- 왜 유독 자기 전, 스마트폰을 놓기 어려울까 [별별심리]
- "병원 수치랑 다르네" 가정용 혈당 측정기, 쓸 필요 없는 걸까?
- 코피 날 때 ‘콧잔등 꾸욱’? 여태 잘못 지혈했다
- 끓여도 안 죽는 식중독균 확산 중… ‘배달 음식’ 주의하라던데?
- ‘41세’ 이지현, 터질 듯한 근육 자랑… 어떤 운동하나 보니?
- ‘30kg 감량’ 데프콘, ‘이 음식’ 10년간 참았다… 뭐길래?
- “집에서 ‘이 일’만 해도, 암 발병률 낮아진다”… 英 옥스퍼드대 발표
- ‘디지털 상담소’ 정도인 줄 알았는데… 생성형 AI, 정신질환 증상 개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