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교육도 안받은 공무원을 화마 속으로 보냈나” 유족 오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산청 다녀오면 '친구야 얼굴 보자'고 했는데."
23일 경남 창녕군 창녕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 산청군 산불 진화 중 숨진 창녕군 공무원 1명과 산불예방진화대원 3명 등 희생자 4명의 유족들이 오열했다.
공 씨 등 진화대원들은 22일 오전 11시경 산불 현장에 도착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3일 경남 창녕군 창녕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 산청군 산불 진화 중 숨진 창녕군 공무원 1명과 산불예방진화대원 3명 등 희생자 4명의 유족들이 오열했다. 창녕군 소속 산불전문예방진화대로 활동하다 이번에 숨진 공모 씨(60)의 죽마고우인 차모 씨는 “어제 오전 9시 30분에 친구와 마지막 통화를 했다”며 “곧 보자고 했는데 변을 당했다. 지금도 믿을 수가 없다”며 황망한 표정으로 연신 담배만 태웠다. 우리나라에서 산불로 진화대원이 2명 이상 숨진 것은 1996년 4월 경기도 동두천 산불 이후 29년 만이다.
● 산불 사망자 유족-지인 “다녀와서 보자고 했는데”
공 씨는 창녕군에 살던 평범한 주민이자 2003년 출범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의 일원이었다.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진화대는 민간인으로 구성된다. 평시에는 산불예방 활동을 하다가 불이 나면 잔불 정리, 뒷불감시 등을 도맡았다. 비교적 작은 규모의 산불이 나면 먼저 가서 진화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루 7만 원 가량의 임금도 받는다. 거주지나 인근 지역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하면 일부 인원이 ‘산불광역관리대’로 차출되기도 한다. 인근 주민들에 따르면 평소 공 씨 같은 진화대원들은 분무기 물통 등을 들고 다니면서 잔불을 끄기도 했다고 한다.
공 씨 등 진화대원들은 22일 오전 11시경 산불 현장에 도착했다. 하지만 당시 불은 이미 소규모 화재가 아니라 대형 산불 수준이었다. 불을 끄며 서서히 올라가던 대원들은 갑자기 불어온 역풍을 타고 퍼진 불길에 포위됐고 그중 공 씨는 불을 피해 도망가다 절벽에서 뛰어내렸다. 다리를 다친 공 씨는 이후 화마에 휩싸였다.
차 씨는 공 씨의 죽음을 황망해하며 “진화대원이 주로 하는 일은 잔불 정리인데 왜 위험한 산 위로 올라간 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같은 진화대에서 근무하다 이번에 숨진 이모 씨(64)의 친척도 “진화 대원은 민간인이다. 전문가가 아니라 주민들이 산불 감시하고 잔불을 끄곤 했던 것”이라며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납득이 안된다”고 했다. 그는 “형님은 창녕에서 홀어머니를 모시던 평범한 농부”라며 “큰 아들을 귀하게 살피던 홀어머니는 쓰러져서 눈물만 흘리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 소방관도 아닌데 최전방에… “무리하게 투입”
이번 산불로 숨진 공무원 강모 씨(33)의 친척 안모 씨는 “소방교육도 안 받은 말단 8급 군청 공무원을 마스크만 씌워서 8부 능선까지 보낸 건 죽으라는 것 아니냐. 제대로 된 안전 장비도 갖추지 못하고 불길로 향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강 씨는 22일 진화대와 함께 산청 산불 현장에 투입됐다. 그는 당일 근무가 아니었지만 “진화대를 인솔할 담당 공무원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현장에 투입됐다고 한다. 강 씨의 아버지는 아들과 연락이 두절된 뒤 창원에서 차로 1시간 20분 거리인 산청까지 가서야 아들의 변고를 들었다. 안 씨는 “그 집은 아들 하나였는데 대가 끊겼다. 이제 막 꽃피울 나이였는데”라며 안타까워했다. 강 씨가 숨진 22일은 그의 조카가 태어난 지 100일째였다고 한다.
일각에선 초동 대처나 잔불 정리 등 비교적 덜 위험한 작업에 투입됐어야 할 민간인이나 비전문가들이 소방관도 아닌데 화재 최전방에 무리하게 투입됐다가 변을 당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남지역본부는 23일 입장문에서 “대형 산불은 헬기를 이용한 진화가 우선이고, 공무원 및 진화대는 큰 불길이 잡힌 후 잔불 정리 등에 투입하는 것이 상식”이라며 “초기 진화에 급급한 나머지 무리하게 투입하여 발생한 사고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고 덧붙였다.
창녕=조승연 기자 cho@donga.com
창녕=전남혁 기자 forward@donga.com
대전=이정훈 기자 jh89@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집채만한 불길이 순식간에 눈앞에”…화마에 오열한 피해 주민들
- 최상목 “재난사태 울산·경남·경북에 특별교부세 긴급지원”
- 협상땐 소극적이던 與인사들, 청년 겨냥 연금개혁 거부권 요구 논란
- “25일 尹 파면해야” “反국가세력과 전쟁”…野與, 노골적 헌재 압박
- 민주당, 27일 ‘최상목 탄핵안’ 처리 추진…일각에선 줄탄핵’ 후폭풍 우려
- 권성동 “헌재, 권한대행 탄핵 의결정족수 판단 내려야”
- 시민 발묶은 ‘2호선 탈선’ 이유는 정지신호 위반
- 세탁기에 비친 37분의 성폭행 장면…범행 부인하던 20대 중형 선고
- 美 그랜드캐니언 방문 한인 여행객 3명 실종…열흘째 연락 끊겨
- ‘토허제’ 헛발질 후폭풍…금리 내리라던 당국, 다시 고삐 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