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발 하라리 만난 이재명 “비윤리적·비규범적 알고리즘 통제 방법 찾아야”

박자연 2025. 3. 22. 21: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회 사랑재에서 AI 주제로 대담 진행
하라리 “AI 권한 비대…알고리즘 규제해야”
李 “통제할 방법 없나, 찾아야겠다” 답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사피엔스’의 저자이자 이스라엘의 세계적 석학인 유발 하라리 전 히브리대 역사학과 교수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인공지능(AI)을 주제로 대담하고 있다. 2025.3.22 [국회사진기자단] <연합뉴스>

[헤럴드경제=박자연 기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2일 “돈을 벌기 위해 윤리적으로, 규범적으로 통제되지 않은 알고리즘을 통제할 방법을 찾아야 하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국회 사랑재에서 유발 하라리 작가와 AI(인공지능)를 주제로 진행한 ‘이재명N(exus)하라리 대담’에서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알고리즘을 규제하는 것이다. 그런데 표현의 자유를 위반하는 것 아니냐, 정보는 다 자유여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하는데 ‘표현의 자유’는 인간만 보호한다. 이건 인권”이라는 하라리 작가의 주장에 이같이 답했다.

유발 하라리 작가는 ‘사피엔스’의 저자이자 전 히브리대 역사학과 교수로 세계적 석학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하라리 작가는 AI 위험성을 경고한 도서 ‘넥서스’를 출간한 뒤 홍보차 지난 20일 방한했다. 앞서 이 대표는 2022년 대선 당시에도 하라리 교수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주제로 비공개 대담을 나눈 바 있다.

하라리 작가는 대담에서 인공지능(AI)의 부작용과 관련한 주제에 대해 “대화를 하려면 도구가 필요한데 이전엔 라디오, 신문, 인터넷 등이 그 역할을 했지만 10년 전 정도부터는 대화를 제어할 수 있는 권리를 알고리즘, 즉 인간도 아닌 지능에게 줬다”고 했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편집장이 알고리즘이 됐다”면서 “알고리즘의 목표는 진실을 찾는 게 아니고 사용자들이 접속 시간을 늘리고 사람들이 플랫폼에서 시간을 더 보내게 하려는 것이다. 그렇게 해야 기업이 돈을 버니까”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하라리 작가는 “준비해야 한다. 우리도 예측을 못 하는데 AI에게 이런 정도까지 권한을 많이 넘겨서는 안 된다”며 정부가 알고리즘을 규제할 필요성이 있다고 역설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알고리즘이 갖고 있는 맹점은 사람을 편향되게 몰아가는 것”이라며 “인간은 다양해야 하는데 많은 걸 봐야 하고 많은 경험도 하고, 생각도 비판적으로 하고, 유연함이 있어야 하는데 알고리즘이 한쪽 사고만 하게 하는 듯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돈을 벌기 위해, 많은 사람을 모으기 위해 (알고리즘이) 윤리적으로 규범적으로 통제되지 않고 있다는 것인데 이걸 현재 통제할 방법이 없다는 말씀인가. 열심히 통제할 방법을 찾아야겠다”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대담에서 관료들이 민간 산업에 대한 통제 욕구를 절제하고 민간의 전문성을 존중해야 한다고도 언급했다. 이날 “입법, 사법, 행정부에서 AI에 대한 이해가 필수지만 지금은 전문성을 갖기가 어려운 것 같다”는 시민의 질문에 이 대표는 “제일 문제는 대한민국은 정부 영역이 사회를 선도했기에 규제나 산업 현장에 대한 통제욕구가 있다는 것”이라며 “권력이 있으면 행사하고 싶겠지만 그걸 절제해야 하는데 쉽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민간 영역 전문성이 정부 관료보다 훨씬 더 뛰어나니 민간의 전문성을 더 존중하는 생각을 관료들이 해야만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이 대표는 “연구개발(R&D) 예산 편성 평가 자체도 사실 공무원이 다 평가하고 선발하고 추가 연구과제를 줘야 하는 것도 공무원이 결정하는데 공무원이 뭘 알겠나”고 반문하며 “그런 것을 좀 버려야 한다. 민간 전문 영역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고 AI 통제 문제도 민간 전문영역에 충분히 권한을 주되, 마음대로 못 하게 적절히 제어만 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넘쳐나고 있는 가짜뉴스와 허위정보 대응을 AI로 할 수 있는가’라는 시민의 질문에는 “AI 기술도 사실 긍정, 부정 측면이 다 있고 기술은 막아도 막아지지 않을 것이라 어떻게 활용할지는 우리의 몫”이라면서 “정치인은 (기술을) 어떻게 유용하게 쓸지, 악용을 어떻게 막을 것인지를 연구할 책임이 있다. 충분히 고려하고 충분히 배려해서 합리적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답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