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이 함께 살아갈 새로운 천안'…2035 인구구조 개선 추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남 천안시 인구가 역대 최고치를 달성하며 인구 70만 명 돌파를 앞두고 있다.
차명국 천안시 기획조정실장은 20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2월 말 기준 총인구는 69만 8597명으로 70만 명을 눈앞에 두고 있다"며 "'70만을 넘어 200만이 함께 살아갈 새로운 천안!'을 인구정책 비전으로 삼고 '2035 인구구조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충남 천안시 인구가 역대 최고치를 달성하며 인구 70만 명 돌파를 앞두고 있다.
차명국 천안시 기획조정실장은 20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2월 말 기준 총인구는 69만 8597명으로 70만 명을 눈앞에 두고 있다"며 "'70만을 넘어 200만이 함께 살아갈 새로운 천안!'을 인구정책 비전으로 삼고 '2035 인구구조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천안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천안시의 총인구는 외국인 3만 7616명을 포함한 69만 8597명으로, 1963년 시 승격 이후 최대 인구다.
시는 1963년 시 승격 당시 충남 전체 인구(273만 1268명)의 2.3%인 6만여 명에 불과했으나, 60여 년이 지난 현재 11배의 인구성장을 이뤄내며 중부권 핵심도시로 발전했다.
천안은 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을 시작으로 경부선·호남선·장항선 등 삼남의 철도요충지 교통 인프라와 KTX고속철도 개통, 수도권과의 접근성을 기반으로 기업 유치,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했다.
실제 1963년 천안시의 도로 연장은 45km, 도로 포장률은 14.7%에 불과했으나 2022년 기준 도로연장은 1691km, 도로 포장률은 63.9%로 증가했다.
사업체 수는 1994년 기준 1만 7937개에서 지난해 7만 9458개로 4.4배, 같은 기간 종사자 수는 7만 5647명에서 32만 3557명으로 4.2배 늘어났다.
천안의 급속한 인구성장은 정주·체류 여건 조성과 교육·문화·복지 등 다양한 정책 시행, 사회기반시설 확충, 도시 개발을 비롯한 기업 유치, 일자리 창출, 정주여건 조성, 정책 재투자 등 '천안형 정책의 선순환 구조'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
시는 한화포레나 천안노태 1·2단지와 부성지구 한라비발디 등 상반기에 7개 공동주택 단지, 4700세대가 입주하는 만큼 다음 달 중으로 인구 7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인구 70만 돌파를 기점으로 향후 10년간의 지속 가능한 인구구조 안착을 위해 '천안과 함께할 당신을 위한 4YOU(포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프로젝트는 2035년까지 합계출산율 1.0명, 청년인구비율 33%, 생활인구 200만 명 달성을 목표로 인구구조변화 대응, 저출생 극복, 일자리 확대 및 정주여건 강화, 생활인구 확대 등 4대 추진전략을 수립했다.
주요 세부전략으로 인구영향평가제도 도입, 인구인식개선 교육 확대, 다자녀 도시브랜드 및 스마트 교통체계 구축, 생활인구 증대를 위한 관광 활성화를 중심으로 한 인구정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차명국 기획조정실장은 "시민 여러분의 노력과 뜨거운 열정 덕분에 오늘의 성장을 이뤄냈다"며 "새로운 70만 천안 시대에 맞는 지속 가능한 인구성장 구조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천안=대전CBS 인상준 기자 sky0705in@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CM, 두 딸 아빠 고백 "단란하게 지내고 있다"
- 끝내 사과 없는 김수현, '미성년 증거'→'10일 공백' 쟁점들[다시, 보기]
- "일하는데 왜 돈이 없어?"…윤성빈 '캥거루족 비하' 논란 결국 사과
- 김건희, 尹체포에 "총 안 쏘고 뭐했나" 경호처 질책[뉴스쏙:속]
- 장성철·박성태 "尹 탄핵 28일 예상…격론 없다, 신중할 뿐"[이정주의 질문하는 기자]
- 파월 의장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는 '일시적'"
- 이재명, 이재용 만나 "기업 잘 돼야 나라가 잘 돼"
- 韓 국가총부채 6200조 원 돌파…1년 새 250조 원↑
- '다시 방미길' 안덕근 산업장관 "민감국가 지정해제 대안 모색"
- 美·우크라 정상 "美정보 공유 지속"…러시아 요청 '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