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후폭풍 예상에도… 美연준 "지켜보겠다" 신중론 유지
미국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미 경제 전망에서 성장률을 낮추고 물가는 오를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연준은 19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연준 위원들은 올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0.25%포인트씩 두 차례 인하한다는 의미로 지난해 12월 전망과 같다.
다만 연준 위원 19명이 익명으로 향후 금리 수준을 표시하는 점도표(dot plot)에서 미세한 변화는 감지됐다. 지난해 말 '최소 두 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한 위원은 15명이었지만 이번엔 11명으로 줄었다. 미 CNBC는 "기준금리에 대한 견해가 어느 정도 통화 긴축 선호(매파)로 바뀌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날 연준은 명시적으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직전 1월 회의 결과에 담겼던 "고용과 물가 안정을 위한 위험이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표현은 삭제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주요 교역국과 관세충돌, 불법 이민자 추방으로 노동시장 변화 등 경제 불확실성이 커져 물가를 밀어 올릴 거라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7일 "우리는 서두를 필요가 없고 (각종 변화의 영향이)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경제지표의 일시적 변동에 반응하기보다 거시적인 경제 흐름을 살피겠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경제전망은 수정하면서 금리인하 예상은 바꾸지 않은 것도 통화정책 결정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기조가 담겼다고 평가된다.
일각에선 연준 자체 위기론도 제기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촉발하는 불확실성에 연준이 대응할 수 있는 카드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트럼프의 수입물 고관세 정책은 고용악화와 물가 인상을 동시에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이 상황에서 고용안정을 위해 금리를 내리면 물가가 오르고 물가를 잡으려고 금리 인하를 중단하면 고용이 심각해질 수 있다.
자산 운용사인 아문디의 마흐무드 프라단은 뉴욕타임스(NYT)에 "연준이 정책 불확실성, 관세에 대한 변동성 등을 통제할 수 없다"며 "연준은 딜레마에 빠졌고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고 말했다. TS롬바드의 스티븐 블리츠 분석가도 "통화정책이 관세에 따른 무역 충격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다"라고 했다.
김철웅 기자 kim.chulwoo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현미 ‘5억의 늪’에 갇혔다…“의회 패악질” 일산땅 사연 | 중앙일보
- "하룻밤 女3명 강간한 아들 둔 엄마"…김선영 괴롭힌 '이 여자' | 중앙일보
- 여성 성폭행한 대리기사는 성범죄자…"아내 알면 안돼" 합의 시도 | 중앙일보
- "8살 데려다 뭐하는 짓이냐"…'언더피프틴' 방영 전부터 논란 | 중앙일보
- 엄마 죽이고 잠든 두 동생도 쐈다…총기난사 계획한 19세 결국 | 중앙일보
- 탄핵 찬성파 아니었어? 오세훈·한동훈·유승민의 묘한 말들 | 중앙일보
- "일하는데 왜 돈 없냐" 캥거루족 직격…윤성빈 "비하 의도 없어" | 중앙일보
- "딱 하나 걸리는 건 내란죄 철회"...'尹 각하설' 진앙지는 김용민 | 중앙일보
- "인간 감염, 전례없는 위협" 삵도 쓰러졌다…포유류 덮친 조류독감 | 중앙일보
- "지하철서 문화 충격"…숙대 첫 우크라 유학생의 서울살이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