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트럼프 관세정책에 이틀 연속 하락…다우 1%↓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478.23포인트(-1.14%) 내린 4만1433.4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2.49포인트(-0.76%) 내린 5572.0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32.22포인트(-0.18%) 떨어진 1만7436.10에 각각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전날에 이어 약세를 이어갔다. 특히 S&P500지수는 종가 기준으로 지난 2월 19일 고점(6144.15) 대비 9.3% 떨어졌다. 지난주 조정국면에 진입한 나스닥지수에 이어 기술적 조정국면(직전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 진입을 코앞에 두게 됐다.
이날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관세정책에 뉴욕증시는 냉탕과 온탕을 오갔다. 이날 개장 초만 해도 전날의 급락분을 만회하듯 강보합 흐름을 보였다. 그런데 오전 10시경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대미 수출 전기 요금 할증 부과를 비판하면서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에 추가 25% 관세를 예고했다.
이후 온타리오주가 전기요금 할증 중단을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존중한다고 말함으로써 뉴욕증시는 낙폭을 줄인 채 마감했다. 백악관은 뉴욕증시 마감 후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 대상 추가 관세 방침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월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우려를 보이고 있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 전략가는 “현시점에서 우리가 경기침체의 문턱에 있다고 보지는 않지만, 경제성장은 아마도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날 15% 떨어졌던 테슬라는 3.79% 오르면서 반등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응원하는 차원에서 테슬라 차량을 구입할 계획이라고 밝힌 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 엔비디아(1.66%), 메타(1.29%) 등 대형 기술주들은 이날 저가 매수세에 힘입어 소폭 올랐다. 반면 애플은 2.9% 떨어지면서 약세를 이어갔다. 알파벳도 1.1% 내렸다.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기술주 보다 우량주와 가치주, 전통 산업군이 더 약세를 보였다. 경기방어주로 꼽히는 버라이즌이 6.58%, T모바일은 3.74% 떨어졌다. 월트디즈니도 5% 하락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93%’ 개미 울린 이 종목...19만원에서 1만2000원 - 매일경제
- 대통령 복귀 언급한 증권사 보고서 등장...“정책 불확실성 해소 긍정적” - 매일경제
- 재건축 상가로 새 아파트 받으려면 이것 확인해라 [재건축 임장노트] - 매일경제
- “왜 구글맵 안 돼요?”...규제 풀면 ‘33조 관광 수입’ - 매일경제
- 한화, 자회사 지분가치만 14조…목표가↑ [오늘, 이 종목] - 매일경제
- 줄기세포 치료제 다시 빛 볼까 [스페셜리포트] - 매일경제
- 금리 인하에 또다시 영끌 시작?...주택담보대출 급증 - 매일경제
- “주가 14만원에서 5천원 누가 떨어뜨렸나”...CGV, 희망퇴직 받았다 - 매일경제
- 줄기세포 치료 해외 원정 시대 끝...빗장 풀린 K재생의료 [스페셜리포트] - 매일경제
- “구속취소 여파?” 헌재, 13일 감사원장 탄핵심판...尹심판 미뤄질 듯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