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취업 한파…서울대 공대도 떤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학위 수여식이 열린 지난달 26일 서울 신림동 서울대 신공학관.
국내 최고 인재로 꼽히는 졸업생 42명 중 한 명인 최모씨(26)는 여전히 취업준비생이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한다.
통계청이 지난해 국내 신규 박사 학위 취득자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1만442명 중 무직자 비율이 29.6%로 2014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업 채용 43% 급감
졸업 미룬 '취업 낭인' 수두룩
작년 IT 신규 채용도 반토막
박사 10명 중 3명이 백수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학위 수여식이 열린 지난달 26일 서울 신림동 서울대 신공학관. 국내 최고 인재로 꼽히는 졸업생 42명 중 한 명인 최모씨(26)는 여전히 취업준비생이다. 그는 “프로그래밍 직군에서 일하고 싶은데, 채용이 크게 줄어들어 고민이 많다”고 했다.
기업들이 경기 침체와 12·3 비상계엄 이후 증폭된 불확실성에 채용문을 좁혀 대졸 취업시장에 한파가 불고 있다. 2일 통계청 나우캐스트 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둘째 주(9~15일) 기준 온라인 채용 모집인원 지수는 44.3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1% 하락했다. 이 지수는 2020년 1월 첫째 주를 100으로 놓고 증감을 비교한 주간 단위 일자리 지표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한다. 기업 채용은 12·3 계엄 사태 이후 더욱 급감했다. 온라인 채용 모집인원 지수는 지난해 11월 말 54에서 12월 말 43.2로 한 달 만에 20% 빠졌다.
코로나19 때 ‘알짜’ 일자리를 제공한 정보기술(IT) 기업마저 신규 채용을 급격히 줄이고 있다. 잡코리아에 올라온 IT 및 정보통신업 채용 공고는 계엄 사태 이전인 지난해 11월 4만40건에서 지난달 3만3857건으로 15.4% 감소했다. 지난해 공고 건수는 52만8002건으로 2022년 대비 51.5% 급감했다.
IT업계 채용 절벽에 기업들이 재학 중 ‘입도선매’하듯 데려가던 서울대 공대생조차 취업난에 허덕이고 있다. 여기에 채용 확대를 독려하던 정부도 사실상 손을 놓고 있어 채용문은 그야말로 ‘바늘구멍’이 돼 버렸다. 취업난은 졸업을 미루고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 6학년’ 양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좁아진 채용문에 고학력자들이 취업하지 못하고 학교를 맴도는 현상도 심해지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해 국내 신규 박사 학위 취득자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1만442명 중 무직자 비율이 29.6%로 2014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았다.
류병화/정희원/조철오 기자 hwahwa@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차할 데도 없는데 없애버리죠'…아파트 놀이터가 사라진다 [오세성의 헌집만세]
- 결국 '돈' 때문이었나…"아이 낳으면 1억 준다" 했더니 '깜짝'
- '사망 1위' 암보다 더 괴롭다…자살 위험 높은 '무서운 병' [건강!톡]
- '40억이 대수냐'…이수지 패러디 '도치맘' 몰리는 아파트 알고보니
- 착하게 생겼다더니 "제대로 미쳤다"…도 넘는 판사 공격
- 12억 넘던 송도 아파트가 5억7000만원…그야말로 '처참'
- "회식 1차에 끝내고 9시 귀가"…직장인들 돌변하자 벌어진 일
- "전력망 죽이는 태양광" 우려에…정부 '중대 결단' 내린다 [김리안의 에네르기파WAR]
- 10대 투자고수도 베팅…"안 담고 뭐해" 2060 열광한 주식
- "이러다 결혼도 못 하겠어요"…비명 쏟아낸 남성들, 왜? [김일규의 재팬워치]